최근 우리나라도 에너지 절약, 대기오염 예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친환경 교통수단인 자전거를 위한 기반을 확대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신호를 무시하며 차도와 인도를 넘나드는 자전거 또는 야간 시 라이트를 장착하지 않은 채 위협적으로 달리는 이기적인 자전거를 흔히 볼 수 있다.
해외의 경우를 한 번 살펴보자. 자전거 국가의 대명사로 불리는 덴마크는 1923년 세계최초로 자전거도로를 개통했으며 현재는 400㎞ 이상의 자전거 전용도로가 인도·차도와 엄격히 분리 운영되고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자전거 전용 신호등과 심지어 우회전 전용 자전거 차선까지 갖추고 있는 등 자전거 안전과 관련된 인프라 확충이 완벽에 가깝다.
게다가 라이더들의 수준 높은 라이딩 매너도 한몫 한다. 정지, 우회전, 좌회전과 같은 수신호는 거의 필수에다 라이딩 속도는 대체로 평균 20㎞ 내외로 천천히 달린다. 특히 자전거 도로상에 주차를 하지 않는 차량 운전자의 올바른 의식이 인상적이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는 어떠한가?
건강을 위해 달린다면서도 정작 자신의 안전에는 관심이 없는 듯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거나 대회수준의 빠른 속도를 뽐내며 다른 자전거와 보행자를 위협하며 달리는 자전거 족을 보면 어쩐지 씁쓸하다.
또한 이어폰을 꽂고 크게 음악을 들으며 달리는 자전거를 종종 볼 수 있는데 이는 주변 위험상황을 바로 인식하지 못해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 안전까지 방해하는 위험한 습관이다.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빠르고 편리한 교통수단이자 스포츠로서도 각광받는 자전거, 자동차만큼이나 각별한 주의와 관심이 필요하다. 자전거 운전자의 교통규칙 준수와 더불어 자동차·보행자와의 서로 배려하고 양보하는 문화가 정착되어야만 더 많은 사람들이 생활 속에서 안전하게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안영의 일산경찰서 교통관리계 경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