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계층 요금 할인 ‘교통복지’ 실현 버스 공영제, 구체적 로드맵·예산 확충 계획 불투명
새정치민주연합 원혜영 의원은 6ㆍ4 지방선거 경기지사 선거에 출마를 선언하면서 교통지옥 탈출, 편안하고 안전한 출ㆍ퇴근을 실현해 ‘시민주인 교통시대’를 열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가장 먼저 ‘경기대중교통공사’를 설립, 버스 공영제를 실현해 장애인과 노인, 임산부, 아동 등 취약계층의 이동권을 확보하고 이들을 위한 각종 할인요금 정책 등을 실시해 교통복지를 실현하겠다는 계획이다.
특히 원 의원은 경기대중교통공사가 성공을 거둘 경우 이를 더욱 발전시켜 서울과 인천 등을 아우르는 ‘수도권대중교통공사’도 설립하겠다는 안도 구상 중이다.
원 의원의 교통공약은 대부분 교통복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경기도 공공버스인 ‘경기도형 M버스’를 운영, 출ㆍ퇴근 시간 등에 버스를 늘리고 노선도 신설해 ‘앉아서 가는 버스’를 실현하겠다는 방침이다.
또 ‘내 집 앞 버스’도 운영, 아파트 단지와 마을입구에서 바로 직장과 학교 등으로 출발하는 버스도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며, 민간 버스회사가 수익성을 이유로 운행을 중단ㆍ폐지한 노선과 벽지노선 버스 등에도 공공버스의 운행을 확대해 대중교통 사각지대를 해소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원 의원은 ‘협동조합 버스’와 ‘우리 버스 활성화’ 정책도 공약으로 제시하고 있다.
원 의원은 버스 운송사업에 협동조합형 사업자의 진입을 지원해 조합의 목적과 특성에 맞는 다양한 버스 노선을 신설한다는 계획이며, 우리 버스는 주민이 자발적으로 만드는 커뮤니티 교통수단으로 커뮤니티 버스 및 커뮤니티 승합차, 카풀 등에 예산을 지원해 활성화 시킨다는 것이다.
그러나 버스 공영제를 추진함에 있어 경기대중교통공사 설립 및 공영버스 운영만 제시하고 있어 구체적인 로드맵과 예산 확충 등의 계획이 불투명하고 협동조합 버스 및 우리 버스 등의 사업도 중요정책이라기보다는 시범사업의 성격이 강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