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천 막바지 ‘실종된 상향식·개혁공천’

새누리, 여론조사 경선 … 인지도 높은 前 단체장ㆍ의원 혜택
새정치, 19명 現 단체장 그대로ㆍ전략공천까지… 곳곳 반발

새누리당 경기도당과 새정치민주연합 경기도당의 64지방선거 공천이 막바지에 접어든 가운데 당초 주장하던 상향식 공천이나 개혁공천을 무색케 하는 공천이라는 지적이다.

13일 새누리당 도당과 새정치연합 도당에 따르면 양당은 31개 기초자치단체장 후보 중 새누리당이 30개 지역, 새정치연합이 28개 지역의 후보를 공천하는 등 사실상 공천 과정을 마무리했다.

이런 가운데 여야 모두 지방선거 이전 기약했던 새정치 구현에는 미치지 못한 공천으로 후보 및 당원들의 반발은 물론 유권자들에게 실망어린 결과를 도출하고 있다.

새누리당의 경우 기초단체장, 광역의원, 기초의원에 대해 상향식 공천을 진행하면서 폭넓게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기초단체장의 경우 단수 추천지역인 3개 지역과 여성우선추천지역 2곳, 중앙당이 전략공천을 한 2곳 등을 제외한 22개 지역에 대해 광범위하게 여론조사가 공천과정에 적용됐다. 특히 이중 12곳의 경우 100% 여론조사를 통한 경선을 벌여 공천을 마무리했다.

하지만 이러다보니 여론조사의 특성상 인지도에 무게감이 실리면서 전임 시장을 지내거나 전직 국회의원을 지낸 인사들로 편중된 공천이 이뤄졌다. 이로 인해 새누리당의 상향식 공천이 결국 정치 신인들이 발 딛을 틈을 사전에 제한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특히 일부 지역의 경우 특정 예비후보가 상대방보다 더 높은 지지를 받았음에도 가중치 합산 방식으로 인해 후보자가 뒤바뀌었다는 의혹도 제기되는 등 부작용이 잇따르고 있다.

또 면접관이 인사말을 통해 특정 정당 후보자에 대한 여론조사임을 밝혀 타 정당 지지자가 전략적으로 후보를 선택하는 이른바 ‘역선택’에 대한 우려도 제기됐다.

새정치연합 역시 당초 자신들의 주장했던 무공천 방침을 철회하면서 혼란을 가중시켰다. 선거를 두달 앞두고 공천 방침으로 변경하면서 ‘좋은 후보’를 공천하기 위한 물리적인 시간조차 허용되지 않은 것이다.

새정치연합은 지난달 14일 이번 지방선거 공천방향을 제시하면서 강력한 개혁공천을 단행하겠다고 밝혔지만 실제 이뤄진 공천은 사실상 선거에서 승리하는데만 몰두한 공천이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음주운전 3회 적발부터 강력범죄까지 경중을 가리지 않고 1심 판결만 난 경우에도 공천에서 배제하겠다는 원칙을 제시하고 비리행위에 연루된 공천 대상자를 가차없이 배제하겠다고 밝혔지만 사실상 이뤄지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실제 새정치연합 소속 21명의 기초단체장 중 일부가 이 기준에 부합하지 못했음에도 공천을 신청하지 않은 김학규 용인시장과 전략공천이 이뤄진 김철민 안산시장을 제외한 19명의 단체장이 그대로 공천을 받게 됐다.

이밖에도 당초 경선지역으로 지정했던 용인지역에 대해 중앙당 입김으로 인해 경선 대상에 포함됐던 후보를 전략공천하는 등 곳곳에서 반발이 일었다.

지역정가 한 관계자는 “여야 구분없이 깨끗하고 공정한 공천을 진행하겠다고 했지만 나온 결과는 지난 선거에서 나타난 모습과 흡사한 상황”이라며 “국민들이 원하는 공천이 이뤄졌다고 하기에는 매우 실망스런 결과”라고 말했다.

정진욱송우일기자 panic82@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