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등록 시작… 무소속 출마자 추천인 수 채우기 ‘고군분투’

세월호 참사 여파로 선거 분위기 가라앉아
“눈치보며 부탁” 하소연, 안산지역은 발만 동동

6ㆍ4 지방선거 후보 등록을 앞두고 세월호 참사 여파 등 가라앉은 선거 분위기로 인해 상당수 무소속 후보들이 또다른 선거전을 치루고 있다.

정식 후보 등록을 위해 법정 추천인 수를 채워 선관위에 제출해야 하지만 사정이 여의치 않기 때문이다.

14일 경기도선관위에 따르면 공직선거법상 정당의 추천을 받지 않고 무소속으로 출마하고자 하는 후보는 해당 선거구의 선거권자로부터 추천을 받을 수 있도록 지난 10일부터 오는 15일까지 지역 선관위에서 검인된 추천장을 교부한다.

후보등록을 위한 추천자 수 기준은 기초자치단체장 선거의 경우 해당 자치구·시·군에서 300명 이상 500명 이하, 광역 의원선거 100명 이상 200명 이하 , 기초의원 선거 50명 이상 100명 이하 등 각 선거별로 요구하는 선권권자의 추천을 받아야 한다.

하지만 후보 등록을 코 앞에 두고도 법정 추천인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시작도 하지 못할 위기를 맞고 있는 무소속 후보들이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경선과정에 이의를 제기하며 탈당한 안양의 A 시의원 예비후보는 무소속 출마를 위해 지난 13일부터 선거구를 돌며 추천장을 받으려 했다.

당초 기초의원의 경우, 50명의 날인이 필요해 대수롭게 생각했던 A 후보는 절반만 받은 상태다.

세월호 참사로 그 어느 때보다 후보자들의 움직임이 조심스러운 안산의 무소속 후보들은 더욱 힘든 상황이다.

무소속 출마를 결심한 B 도의원 예비후보는 선관위가 추천장을 처음으로 교부한 지난 10일부터 자신의 선거구에서 지인들에게 추천을 받기 위해 뛰어다녔으나 녹록치 않았다.

특히 ‘이런 상황에서 무슨 추천이냐’라는 비난까지 받으면서 B예비후보는 하루 평균 15명의 추천을 받는데 그쳤다.

B 예비후보는 “세월호 사고 참사로 시민들의 충격이 가시지 않은 상태에서 후보 등록을 위한 추천을 받는 것이 편하지 않다”며 “하지만 출마를 위해서는 반드시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이 필요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라고 하소연했다.

이밖에 군포, 부천 등 도내 상당수 무소속 지방의원 예비후보들도 법정 기준 추천인 수를 충족하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경기도 선관위 관계자는 “세월호 참사 등으로 가라앉은 선거 분위기 속에서 기존 선거와는 달리 무소속 예비후보자들이 추천인 수를 채우는데 애를 먹고 있다”고 말했다.

양휘모기자 return778@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