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높은 보증문턱… 피해구제 지원도 ‘그림의 떡’ 행사 90% 줄취소… 세월호 참사 직격탄 ‘이벤트업계’ 최악의 경영난
대다수 영세… 3% 금리도 허덕
관광업 포함안돼 유지금도 제외
“직원 월급도 못주는 신세” 토로
세월호 참사로 각종 행사가 줄줄이 취소되면서 도내 이벤트업계가 최악의 경영난에 직면했다. 직원 임금을 지급하지 못하는 것은 예사이고 도산위기에 놓인 업체도 속출하고 있다.
업계는 5월 한 달간 가정의 달 행사를 비롯해 학교 동문 및 체육 행사, 공공기관 및 기업체 홍보 등 각종 행사가 집중돼 있어 한 해 수입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만큼 여파가 장기화할 경우 줄도산마저 우려하고 있다.
20일 한국이벤트협회 인천ㆍ경기지회에 따르면 세월호 참사 여파로 도내 이벤트 업체의 행사 예약이 90%가량 취소돼 대다수 업체가 고사 직전에 처했다. 도내 이벤트 업체는 영세 사업장 등을 포함하면 약 500여 곳에 이르고, 근로자수도 3천여 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성남시에서 공연 기획, 렌털 등을 하는 이벤트 업체 A사는 올해 4~5월에 체육대회, 기업 행사 등 100여 건의 행사가 예약돼 있었지만, 단 1건을 제외하고 모두 취소됐다. 손실액만 4억 원에 달한다. 이모 대표는 “준비하는 과정에 들어가는 비용, 기간 등을 따지면 손실액이 더 늘어나지만, 계약서 작성이 대부분 행사 직전에 이뤄져 위약금을 받지도 못해 직원들 월급도 못 주고 있다”고 토로했다.
남양주에서 직원 15명과 함께 이벤트 업체를 운영하고 있는 김모 대표는 직원들에게 월급을 주지 못해 노동부에 신고를 당한 상태다. 김 대표는 “업계 특성상 성수기 때 행사를 하고, 그 자금으로 월급도 주는데 예약된 행사가 모조리 취소돼 수입이 없으니 직원들도 불안해 신고한 것 같다”며 “이 상황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 지 모르겠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이처럼 세월호 참사로 영세 기업 등의 피해가 현실화되자 정부가 각종 지원책을 내놨지만, 사실상 실효성이 적어 ‘생색내기’에 그친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세월호 관련 피해 업계를 위해 소상공인 특례제도를 통해 2분기 기준 3%의 금리로 업체 당 7천만 원가량 정책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그러나 각종 경영상태와 대표자의 신용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적정 수준을 넘겨야 보증과 대출이 가능해 현재 경영악화에 처한 업체들이 보증문턱을 넘기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당장 문을 닫을 위기에 처한 업체는 3%의 금리마저 버겁다는 입장이다.
또한, 고용노동부가 지난 19일 세월호 참사 여파로 인력을 불가피하게 줄여야 하는 사업주에 고용유지지원금을 제공키로 했지만, 여행·음식·숙박업계에 해당할 뿐, 이벤트 업계는 빠져 있다.
김수완 한국이벤트협회 인천경기지회장은 “이벤트 업계는 관광, 여행업보다 영세한 업체들이 많지만, 법률상 관광업에 포함이 안 돼 있어 실정이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며 “이벤트업계를 위한 실현가능한 지원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