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단체장-광역·기초의원 후보 선관위 홈피 24일부터 공약 게시
선거관리위원회가 정책 선거를 지향하며 홈페이지상에 마련한 ‘공약 알리미’ 코너가 제도적 허점을 드러내면서 소수정당이나 무소속 후보, 정치신인들이 불만을 터트리고 있다.
특히 일부 광역ㆍ기초의원 후보들은 세월호 참사로 인해 자신의 공약을 알릴 기회가 여의치 않았는데 선관위 홈페이지마저 24일이 돼서야 공약이 공개된다며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20일 경기도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광역단체장 후보자들은 지난 19일부터 공약을 중앙선관위 홈페이지의 정책공약 알리미를 통해 유권자들에게 자신들의 공약을 공개할 수 있다.
하지만 기초단체장 후보자를 비롯해 광역ㆍ기초 의원 후보자의 경우 오는 24일부터 공약을 게시할 수 있다. 공직선거법상 기초단체장 후보와 광역ㆍ기초 의원 후보의 경우 선거공보 제출기한이 23일이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새누리당이나 새정치민주연합이 아닌 소수당 후보자나 인지도가 떨어지는 정치신인들은 정책 선거를 통해 유권자들에게 자신을 알리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며 볼멘소리를 내고 있다.
A 시장 후보는 “이번 선거를 앞두고 ‘말(공약)은 풀고 돈은 묶고’라는 컨셉을 잡아 다양하고 수많은 공약을 준비했다”면서 “하지만 유권자들이 가장 많이 접속하는 선관위 홈페이지에 공약을 게재하지 못하고 24일까지 기다려야 하는 상황으로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그는 특히 “광역단체장 후보들과는 달리 타 선거 후보들은 인지도가 낮아 공약을 하루빨리 유권자들에게 알리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광역단체장 후보들과 비교해 공약 게재 기간을 더 짧게 두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난다”고 주장했다.
수원시 2선거구의 B 도의원 후보도 “도당에 공약을 제출했을 뿐 아직까지 자신의 공약을 공식적으로 알리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으며 수원시 가선거구에서 처음 도전하는 C 시의원 후보는 “가뜩이나 얼굴도 알리지 못한 상황에서 자신이 준비한 공약도 뒤늦게 발표될 예정이어서 마음이 조급하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도선관위 관계자는 “일부 후보들이 형평성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이해하지만 법이 정한 절차에 의해 진행되는 것이라 문제가 될 것은 없다”고 말했다.
양휘모기자 return778@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