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지금의 새누리당 전신인 한나라당에 있을 적엔 구원 투수로 명성을 떨쳤다. 천막 당사를 비롯해 테러 병상의 “대전은요?” 말 한마디로 전세를 바꿔 당을 구하곤 했다.
그랬던 박 대통령이 세월호 사고 이후 충격에서 못 벗어난 모습이다. 안대희 총리 후보 낙마 등 행적이 불안하다. 아닌 게 아니라 변호사 개업 1년에 11억원 수입이라니 지탄받아 마땅한 전관예우 시비다. 도대체 청와대 인사 시스템은 뭘 검증했는지 이 정권 들어 낙마가 6명임을 유의해야 한다.
당의 위기관리엔 능한 대통령이 국가의 위기관리엔 문제점을 보였던 이유는 무엇일까?
당은 단핵 구조인데 비해 국가는 다핵 구조이다.
이견과 견해가 단핵 구조인 정당보다 다핵 구조인 국가 운영에서 더 많을 것은 자명하다. 하지만 예를 들어 자리 보존에 급급해 만사 지당장관이 된다해도 곤란하지만 대통령이 다핵 구조를 수용 못해도 곤란하다.
다핵 구조 수용은 대화다. 특히 이견과 다른 견해에 귀를 기울일 줄 알아야 한다. 귀를 연 이후의 고집이 소신이라면 귀를 아예 닫은 고집은 아집이라 할 것이다. 세월호 사고 이후의 비틀거림은 사고 자체가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엄청난데 있고 또 귀를 여는 과정임을 믿고자 하는 것이다. 내치 역시 국가안보처럼 잘 해서 국가적 위기관리를 슬기롭게 헤쳐 나가야 할 것이다.
임양은 언론인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