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읽어주는 남자] 이하 ‘고래가 되어라’

고래가 된 그대들… 하얀 물꽃 되어 돌아오길

함민복 시인은 2014년의 4월을 ‘숨쉬기도 미안한 사월’이라 했지요. “물 속에서 마지막으로 불러 보았을/ 공기방울 글씨/ 엄마,/ 아빠,/ 사랑해!// 아, 이 공기, 숨쉬기도 미안한 사월.”이라고. 저는 그 시어들의 슬픔이 너무 무거워서 자꾸만 눈을 감곤 합니다. 처음 시 읽기를 마치던 순간 마지막 행이 마음에 콕 박혀서 빠지지도 않고요. 어쩌다 슬픔의 통증이 오는 날은 그것이 더 깊이 박히는 날이더군요.

함 시인은 “어른으로서 그런 상황에 놓인 생명을 구출하지 못한 안타까움에 젖어 있으면서도 시대의 아픔을 시로 노래하고 싶은 사람으로서 ‘이것에 대해 글을 안 쓰면 내가 시인인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고 하더이다. 시인이 그럴진대, 저는 그 ‘어른으로서’라는 전제가 자꾸 마음에 걸렸어요.

시인도 화가도 아닌 저는 그저 ”내가 어른인가“하는 자괴감이 드는 것이지요. 제가 어른이라는 것조차 이렇듯 무거운 죄가 될 수 있다는 사실에 저는 날마다 참혹합니다.

그대들 앞에

이런 어처구니 없음을 가능케 한

우리 모두는…….

우리들의 시간은, 우리들의 세월은

침묵도, 반성도 부끄러운

죄다

시의 중간 행을 다시 읽다가 이하 작가의 ‘고래가 되어라’를 떠올렸습니다. 푸르고 푸른 바다위로 거대한 혹등고래가 고래뛰기를 하고 있는 장면을 그린 작품이에요. 핑크빛 하늘을 가르는 고래의 힘찬 자맥질과 물거품이 황홀하지요. 저는 그림을 보다가 불현 듯 소설가 김훈 선생이 『흑산』에서 자주 붉은 바다 건너 쪽 하얀 바다를 말했던 것을 생각해 냈어요. 하얀 바다는 새들의 혼백이 만나는 자리였으니까요.

선생은 정약전의 유배를 빗대어서 여기는 배반의 삶, 저기는 구원의 꿈이라 말하며, 여기를 지나 저 너머로 가면, 그 너머 세상을 이끌고 이 세상으로 돌아올 수 있을 것인가를 묻고 했지요. 이하의 혹등고래가 가는 길이 선생이 말하는 ‘그 너머’의 길이라고 저는 생각했습니다. 지금 고래는 푸른 바다 붉은 하늘을 건너가고 있는 중이니까요.

5천 만 년 전, 육지의 네 발 동물이 꿈꿨던 바다. 그 드넓은 바다의 하얀 정원에 이르러서야 결국 자유의 영혼을 찾았던 고래를 떠 올립니다. 고래가 된 그대들을 떠 올립니다. 하얀 바다에서 고래의 몸은 다시 생명이 꽃피는 정원이 되듯이, 그대들도 햐얀 물꽃이 되어 돌아오세요. 그 너머의 바다 이야기를 가지고 이 세상으로 건너오세요. 그런 다음 이곳에 그대들이 보았던 환한 생명의 정원을 틔워 주세요.

김종길 미술평론가ㆍ경기문화재단 정책개발팀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