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경제학자 토마 피케티의 저서 ‘21세기 자본론’이 유럽과 미국에서 열풍을 일으키고 있다. 이 책은 유럽 주요국, 미국, 일본, 호주 등 20여개국의 순자산과 국민소득에 관한 300년간의 방대한 자료를 분석, 소득 불평등의 심화를 경고하며 부자 증세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부의 불평등이 1차 세계대전 이전 수준으로 심해졌다’ ‘최상위 부자들에게 80%의 소득세를 부과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신드롬이라고 할 만큼 뜨거운 논쟁을 일으키고 있는 피케티는 “돈이 돈을 낳는 속도가 사람이 돈을 버는 속도보다 빠르다”고 주장한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피케티는 상위 10% 계층이 차지하는 소득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분석했다. 2012년 미국 데이터를 보면 미국인 전체가 벌어들인 소득의 52%를 상위 10%가 차지했다.
김낙년 동국대 교수가 분석한 2012년 기준 우리나라의 상위 10% 소득 비중은 45.51%다. 1990년대 중반까지 30%대에 머무르던 상위 10% 비중이 IMF 경제위기를 기점으로 늘어나기 시작해 2000년대 중반 40%를 넘어섰다.
한국의 소득 불평등 수준이 2060년엔 더 악화될 것이란 분석이다. OECD가 최근 ‘50여년간 세계 변화 전망’ 보고서에서 한국의 소득 불평등 수준이 OECD 29개 회원국 가운데 2010년 4위에서 2060년에 3위로 더 나빠질 거라고 전망했다.
OECD에 따르면 2010년 한국 사회의 총소득(세전) 상위 10%의 소득 규모가 하위 10% 소득의 4.85배였다. 하지만 2060년에는 상위 10%의 소득이 하위 10%의 소득에 6.46배까지 늘어날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경우는 소득 격차가 2010년 5.03배에서 2060년 6.74배로, 이스라엘은 4.98배에서 7.21배로 늘 것으로 집계됐다.
여러 가지 경제변수 추세를 전제로 한 장기 전망이긴 하지만 우리에게 경각심을 갖게 하기에 충분하다. 소득 양극화와 불평등 고착화는 자살ㆍ범죄 등 사회병리현상을 유발한다. 소득 불평등 심화에 대한 원인 분석과 처방이 절실하다.
이연섭 논설위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