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시 태안읍 송산안녕리 일원 118만㎡를 택지로 개발해 아파트 등 3천794가구 분의 주택을 짓느냐, 아니면 세계적 명소의 효테마공원 문화 유적지로 관광 자원화 하느냐. 이 다툼이 지역사회에서 무려 16년 동안 계속 됐다.
정조대왕이 처음 묻혔던 초장지 재실 터 등이 발견되고 융건릉(사적 206호), 만년제(경기도 지정문화재 161호)와 그 자체가 정조의 고명사찰로 비지정문화재인 용주사 등이 인근에 있어 불교계에서 반대한 2009년 이후 공사가 중단 됐었다. 그러나 핵심은 용주사 전 주지 정호 큰 스님으로 사비를 축 내가며 항상 반대의 중심에 섰다. 지역의 문화나 정조 숭모의 시민단체들도 이에 호응 했었다.
한데, 이 돈이 문제다. 화성시는 지방재정 열악을 이유 삼아 문제의 땅을 공원으로 묵지 않고 있다. 회색 빛 도시의 주택보다 친환경적 효테마의 세계적 관광 명소로 교육장으로 개발하는 것이 향토 이익임은 알지만 그럴려면 당장 3천500억 원 이상을 LH에 내놔야 하는 것이다.
결국 경기도를 비롯해 수원, 화성, 오산 시가 내야 하는데 분담금 조정이 안되고 차일피일하는 사이에 용주사 주지도 갈리고 해서 기초작업에 나선 것 같다. 김문수 전 도지사는 500억 원 까지는 도비로 내놓을 용의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LH서는 기업 경영 상 당연한 수순이기 때문에 LH만 나쁘다 할 수 없다.
외국에선 없는 사실도 날조해 관광 자원화하는 곳이 있다는데 우리는 있었던 사실도 자원화를 못 하는가. 정호 큰 스님은 화성이나 수원과는 아무 연고가 없는 경남 분이다. 떠나면 그만이다. 그런데도 앞장 섰다. 지역사회는 보고만 있을 것인가?
임양은 언론인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