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의 역사 속에서 정치는 항상 우리 삶을 지배해왔다. 거친 환경 속에서 생존을 위한 의식적 도구로서 정치는 하나의 수단으로 발생했다고도 한다.
이같은 정치는 점차 일정한 형식을 갖추게 되고 부족국가, 봉건제, 절대왕정 등을 거쳤다. 또 18세기 유렵의 시민사회혁명을 거쳐 지금 전세계적으로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는 ‘정치=민주주의’ 등식이 성립하고 있다.
그리고 수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는 만큼 정치의 형식, 즉 제도도 다양하게 만들어졌고 발전해왔다.
이 과정에서 많은 혼란이 있었고 시행착오를 겪은 뒤 여러 국가들은 자신들의 문화ㆍ역사 등을 바탕으로 한 나름대로의 정치제도를 마련했다. 영국과 독일은 의원내각제, 미국과 프랑스는 대통령 중심제 등을 골자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대한민국 수립 후 현재까지 대통령 중심제를 표방하고 있다. 지방자치도 시ㆍ도지사 중심제로 자리잡았다. 이런 가운데 경기도는 민선 6기를 맞아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연정’이라는 기치를 내걸고 비공식적인 정치 실험을 벌이고 있다.
남경필 지사가 지방선거 과정에서 ‘독일식 연정’ 도입을 공약으로 내세웠고 새정치민주연합측도 이에 동의하면서다. 이후 타 지자체와 달리 경기도는 셀 수 없을 만큼의 물밑 협상과 수차례의 합의문 작성을 거쳐 산하공공기관 4곳에 대한 청문회까지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정치는 연구실에서 행해지는 실험이 아니다. 실험의 대상자는 경기도를 구성하는 하나하나의 도민들이다. 연정의 최종 목적이 ‘도민 만족’이라는 대명제에 있다면 모든 갈등이나 이해 관계는 그 안에 포함돼야 한다. 정치적 이해관계, 정당간 골 깊은 감정, 서로에 대한 불신 등도 ‘도민’ 앞에서는 모두 지워야할 숙제들이다.
연정을 통해 이뤄내야하는 최종 목표는 도민들의 행복이다. 그것이 연정의 목적이자 도민들이 지금의 경기도 정치지도자들을 선택한 이유다.
최근 산하기관장 인사청문회가 도정의 가장 큰 이슈다. 연정의 첫번째 성과물이 될지, 아니면 연정의 걸림돌로 작용할지 그 판단은 도민들이 내리고 그 과정도 도민들이 지켜보고 있다. 이점을 경기도의 정치지도자들은 명심해야 할 듯 하다.
김동식 정치부 차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