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군사당국 입장차만 확인

남북한 군사 당국이 15일 판문점에서 만났지만 상호 입장 차이로 합의 사항 도출에는 실패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북 측은 지난 7일 서해 함정 간 총포사격과 관련해 긴급접촉을 가질 것을 제의했다”며 “이에 우리 측이 동의해 금일 판문점 우리 측 지역 평화의 집에서 오전 10시부터 오후 3시10분까지 비공개로 남북 군사당국자 접촉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북한은 이날 정찰총국장을 맡은 김영철(대장)이 수석대표로 나왔다. 우리 측에서는 류제승 국방부 정책실장이 수석대표를 맡고 김기웅 통일부 정책실장과 문상균 국방부 군비통제차장이 참석했다.

이번 군사당국자 접촉에서는 서해 북방한계선(NLL)과 대북전단 살포, 상호비방 중지가 핵심 의제가 된 것으로 전해졌다.

또 우리 측은 천안함 피격사건과 연평도 포격도발에 대해 북측에 책임이 있다는 사실을 주지시켰다. 이는 5·24 조치 해제 문제도 거론된 것임을 시사한 것이다.

북한은 이날 접촉에서 자신들이 일방적으로 선언한 소위 ‘서해 경비계선’ 내에 우리 측 함정이 진입하지 말 것을 요구했다.

북한의 요구에 우리 측은 오히려 “북측이 서해 북방한계선을 준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북한은 이날 우리 민간단체가 대북전단이 담긴 대형 풍선을 북측으로 날리는 행위를 중단시킬 것도 거듭 요구했다.

그러나 우리 대표단은 자유민주주의 체제 특성상 민간단체의 풍선 날리기 행위를 통제할 수 없다고 맞섰다.

이와 함께 북측은 천안함 피격사건 이후 취해진 우리 정부의 5·24 조치 해제도 요구한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오는 30일 남북 고위급접촉을 실시하자고 북한에 제안했다.

통일부는 이날 브리핑을 통해 “정부는 10월4일 인천아시안게임 북측 고위대표단 방한 시 10월 말~11월 초에 제2차 고위급접촉을 개최하기로 합의한 데 따라 지난 13일 오전 고위급접촉 수석대표 명의로 제2차 고위급접촉을 판문점 북측 지역 통일각에서 30일에 개최할 것을 제의했다”고 이같이 밝혔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