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대] 온돌

이연섭 논설위원 yslee@ekgib.com
기자페이지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그리운 풍경 하나가 생각난다. 따뜻한 온돌 위에서, 화로에서 갓 꺼낸 군고구마를 호호 불어가며 먹는 모습이다. 이런 어린 시절을 보내지 않은 사람이라도 요즘같은 계절엔 뜨끈한 온돌방이 그리워진다. 온돌이 우리 정서 깊숙이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온돌((溫突)은 우리 고유의 전통 난방 기술이다. 아궁이에서 불을 때면 불기운이 방바닥 밑으로 난 방고래를 통해 퍼지도록 해 방바닥 전체를 덥게하는 난방 장치다. 추운 겨울을 나기 위해 발명된 온돌은 한밤 내내 방바닥을 따뜻하게 덥혔다. 온돌은 열의 전도와 복사, 대류를 모두 이용한 과학의 산물이다.

온돌은 선사시대부터 이용됐다. 4세기경 황해도 안악3호분 고분벽화에도 등장한다. 중국에도 우리 문화와 관련있는 랴오닝성, 지린성 등에 침대같은 곳에다 아궁이를 지피는 ‘캉(杭)’이 있다. 고구려에서 유래된 변형으로 현재는 점점 사라져가고 있다.

 

온돌은 기술적ㆍ문화적으로 우수하다. 우선 실내에서 직접 불을 때 공기를 데우고 불을 쬐는 서양식 벽난로와 달리, 온돌은 거주 영역과 열원을 분리해 실내로 연기나 유해가스, 재가 들어오지 않아 쾌적하고 청결한 실내환경을 제공한다.

또 벽난로는 연소가 끝나면 열이 바로 사라지지만 온돌은 구들장에 비축된 열을 이용해 지속적으로 난방이 가능하다. 온돌은 바닥과의 신체 접촉을 통해 열을 전달하기 때문에 실내온도를 15∼18도로 낮게 해도 거주자가 방이 따뜻하다고 체감한다.

온돌에서 파생된 문화도 다채롭다. 온돌 열기로 발효식품을 만들어 먹는 식문화, 가마솥에 탕을 끓여먹는 식문화, 실내에서 신발을 벗고 앉아서 생활하는 탈화좌식(脫靴坐式) 관습, 앉아서 악기를 연주하는 음악문화, 앉아서 즐기는 놀이문화 등이 모두 온돌에 기반해 싹튼 문화양식이다.

대중성도 높다. 대부분의 한국 주택에는 현대식 개량 온돌(온수보일러)이 설치돼 있고, 온돌 문화를 체험하며 열 접촉으로 피로를 풀고 휴식을 취하는 찜질방 문화가 보편화 돼있다.

온돌이 갖는 한국 고유의 브랜드 가치를 제고하고 온돌의 문화성을 보존하기 위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해도 손색이 없어 보인다. 마침 정부가 온돌의 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문화유산 등재를 위해선 온돌 기능보유자와 전수조교에 대한 지속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

이연섭 논설위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