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저력 중 하나가 인구다. 무려 13억5천 여명에 이르는 본토 인구 외에 지구촌 곳곳에 화교가 없는 나라가 거의 없다. 이런 인구를 국력 삼아 세계 제패를 꿈꾸고 있다. 그러나 중국도 한 때는 인구를 소모품으로 취급했다.
한국전쟁 때, 참전 당시 중공군으로 불리운 마오의 중국 의용군 인해전술은 유엔군의 골치거리였다. 죽여도 죽여도 밀물처럼 달려드는 떼거리는 사람을 소모품시 하는 전법으로 인구를 줄이려는 측면도 없지 않았다. 그러했던 중국이 개혁 개방과 함께 한 가정 한 자녀를 강조하는 가족계획정책을 버린 것이다. 표면상 이유는 한 가정 한 자녀는 버릇이 없어 장차의 국민성 형성에 장애가 된다는 것이었다.
‘아들 딸 구별 말고 둘만 낳아 잘 기르자’ 는 없는 처지에 아이만 많이 낳던 1970년대의 우리들 구호다. 그런데 이젠 둘이 아니라 하나도 낳지 않는 추세다. ‘농촌에 아기의 울음 소리를 들을 수 없다’고 한다. 비단 농촌 뿐 아니라 도시도 거의 마찬가지다. 지난 8년 동안 100조 원에 달하는 인구 증가의 지원정책을 썼으나 현실은 아무 성과없이 무서운 고령사회로 치닫고 있다.
이미 고령화사회로 접어든 우리 사회가 2018년부터는 고령사회에 들어 젊은 생산 인구가 감소된다는 것이다. 노년층 등 소비 인구가 많아지면 국민총생산이 줄어든다. 나라 구조가 쇠퇴해지는 것이다. 위기다. 어쩌다 길에서 임신부를 보면 외경심을 가질 정도다.
딴 방법이 없다. 여성의 출산이 아담으로 하여금 에덴동산의 사과를 따 먹게 유혹한 이브의 원죄라면 그 연좌가 참으로 가혹하기도 하다. 임신 여성의 사회진출 저해가 저출산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여성에 대한 인권유린은 불가하다. 사회의 시각도 달라질 필요가 있다.
예컨대 프랑스 같은 나라는 미혼모나 미혼부의 인식이 보편화 됐다. 탁상논리가 아니고 좀 더 현실에 밀착하는 정부의 관심과 인구 정책이 필요하다. 인구는 좌우지간 많고 보아야 한다. 국력이다.
임양은 언론인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