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쌀 자급률이 5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하지만 국내 쌀 소비량의 9%에 해당하는 의무수입물량(MMA)까지 더하면 공급량이 소비량보다 6% 가량 많아 ‘쌀 과잉공급’ 현상이 불가피할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다.
2일 농림축산식품부 등에 따르면 2015년 양곡연도(2014년 11월∼2015년 10월) 쌀 자급률을 잠정 추산한 결과, 97%까지 올라가는 등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쌀이 남아도는 현상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2014년 쌀 생산량이 424만1천t으로 전년 423만t보다 1만1천t(0.3%) 늘어난데다 쌀 소비는 점점 더 줄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소비가 줄어드는 바람에 자급률이 높아지면서 쌀값은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실제로 산지 쌀값은 지난달 15일 현재 80㎏당 16만2천680원까지 떨어졌다. 이는 2012년 9월25일(16만776원)이후 최저치이다.
관련 기관들은 쌀값이 떨어지면 쌀 생산기반이 무너져 장기적으로는 안정적인 식량수급 확보에 차질이 예상되는 만큼, ‘맛있는 밥, 간편한 밥, 건강한 밥’을 주제로 범국민 ‘밥심’ 캠페인을 전개, 쌀 소비를 늘려 나간다는 방침이다.
김규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