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곤 前 도교육감 측근들 오산시 계약직공무원 ‘낙하산’

직제에도 없던 자리 만들어 전 수행비서 전문요원 임명
도교육청 인맥 잇달아 채용

오산시가 김상곤 전 경기도교육감의 측근 인사들을 계약직공무원으로 잇따라 선발, 논란을 빚고 있다.

3일 시와 시민들에 따르면 시는 2009년부터 지난해 3월까지 김 전 교육감의 수행비서로 근무했던 H씨(45)를 2년 계약직공무원으로 선발하고 지난 2일자로 임명장을 수여했다.

‘교육정책 전문요원’으로 임용된 H씨는 서류전용과 면접을 거쳐 지난달 20일 지방임기제공무원(7급)으로 최종합격했으며, 현재 평생교육과에서 근무하고 있다.

당초 평생교육과에는 ‘교육정책 전문요원’이라는 직제가 없었으나 H씨를 채용하기 위해 자리를 신설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앞서 시는 지난해 9월 김 전 교육감 재직 시 도교육청 대변인을 역임하고, 지난해 6·4 지방선거 당시 김상곤 경기도지사 예비후보 선거캠프에서 공보특보로 활동한 L씨(56)를 시정홍보 전문요원(6급)으로 채용했었다.

시는 L씨를 채용하면서 직급을 7급에서 6급으로 한 단계 높이고 전임자가 근무했던 자리가 있음에도 부시장실을 개조해 별도의 자리를 마련해줘 ‘과도한 특혜’라는 지적을 받기도 했었다.

이처럼 시가 없는 자리까지 만들어 가며 김 전 교육감 측근인사를 계약직 공무원으로 잇따라 채용하자 공직사회는 물론 시민들도 비난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공무원 A씨는 “아무리 적법한 절차를 거쳤다고 하지만, 김 전 교육감 측근을 한 명도 아니고 두 명씩이나 계약직 공무원으로 채용한 것은 잘못된 것”이라고 비난했다.

시민 H씨도 “명문대학을 졸업해도 취업하기가 어렵고 9급 공무원 시험에 합격하는 것도 ‘하늘의 별 따기’인데 시가 너무하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혁신교육사업을 한 단계 발전시키고 평생학습도시 사업의 시스템과 인프라구축을 위한 인력보강이 필요해 관계 전문가를 채용한 것이다”라고 해명했다.

오산=강경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