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대] 화장장과 비행장 그리고 역지사지

박수철 사회부 차장 scp@kyeonggi.com
기자페이지

수원과 화성의 갈등 양상이 우려 수준을 넘어서고 있다. 화성 종합 화장장과 수원군공항 이전 문제 말이다. 수원 호매실 주민들의 ‘화성 공동형 종합장사시설’ 설치 반대가 극에 달하고 있는 반면, 화성시의회는 ‘수원군공항 화성시 이전 반대 결의안’을 통과시키는 등 두 지자체의 관계가 악화일로로 치닫고 있다.

화장장과 비행장 문제는 별개로 보는 것이 맞다. 하지만 화성과 수원은 생활권을 공유하고 있을 정도로 친밀한 관계로 합리적인 소통으로 두 문제가 반드시 해결돼야 한다는 점에서 함께 논의돼야 한다고 본다.

화성에서 태어나 40년 가까이 살면서 고교시절 수원으로 유학, 20여 년을 수원에서 활동하는 한 사람으로서 이번 사태에 대한 안타까움이 그 어느 누구보다 크다.

더욱이 우려되는 것은 정치권까지 가세해 당리당략에 의해 해결 불가 사태로 치닫지 않을까 하는 것이다. 그나마 다행스러운 것은 경기도가 중재를 약속했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이번 문제는 정치권은 한발 물러선 채 양 지자체 및 주민들이 ‘역지사지(易地思之)’의 입장으로 합리적인 타협을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우선 호매실 주민들은 용인시와 불과 180m 떨어진 영통구 하동에 수원연화장을 운영하고 있는 수원시가 화성 공동형 종합장사시설 설치에 반대할 수 있는 명분이 약하다는 것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다만 화성시와 수원시는 협약 등을 통해 호매실 주민들이 우려하는 건강 및 환경피해 방지에 최선을 다하고 만일 현실화 될 경우 시설 가동 중지 등을 약속하는 등 호매실 주민들을 안심시켜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오죽하면 종합장사시설 유치를 염원할까’ 하는 화성시 및 시민들의 절박함도 한번 생각해봐야 할 대목이다. 사업대상지는 수원시와 경계에 있긴 하지만 개발제한구역(GB)으로 묶여 농사밖에 지을 수 없는 전형적인 낙후지역으로 재산권침해를 받아온 매송면 숙곡리 주민들의 고통을 헤아려야 한다.

아울러 국방부와 수원시는 ‘수원 군공항’ 이전 대상지가 어디로 결정되든 이전지 주변 주민들의 피해 최소화는 물론 이전의 당위성을 납득시키는 것이 전제돼야 할 것이다. 역지사지의 입장에서 말이다.

박수철 사회부 차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