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새정치민주연합 인천시당 신임 위원장
“인천 조직을 우선 정비하고, 중앙당이 국민의 신뢰와 지지를 회복하는데도 힘을 보태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홍영표(부평구을) 새정치민주연합 인천광역시당 신임 위원장은 “인천시당의 분위기 반전을 통해 내년 총선에서 야당 승리의 밑거름이 되도록 하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Q 인천시당 위원장으로서 가장 먼저 할 일은.
A 새정치민주연합은 국민에게 신뢰와 지지를 회복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에 직면해 있다. 특히 인천시당도 지난해 인천시장 선거 패배로 분위기가 침체해 있다. 먼저 당원과 시당 조직을 정비하는데 전력을 기울이겠다. 중앙 당직을 모두 내려놓고 내년 인천지역 총선 준비에 집중하겠다.
Q 인천시당의 지역사회에 대한 역할론은.
A 인천은 지난해 선거로 새누리당 유정복 시장 체제로 바뀌었다. 야당으로서의 역할과 책임이 생겼다. 야당으로서 견제하고 비판하고, 또 인천시의 발전을 위해 야당이 협조할 것은 함께 해나가는 게 중요하다. 송영길 전 시장이 지향했던 비전이나 정책 중에 유효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계승·발전시키는 것도 우리의 과제다.
Q 인천 여야가 현안을 놓고 정쟁하는 구도다. 수도권 쓰레기매립지 종료 문제는 송 전 시장이었어도 현재와 다르지는 않았을 것이라는 게 일반적인 시각이다. 정쟁이 아닌 타협과 지원을 할 수 있는 건 없나.
A 정쟁 차원이 아니라 수도권매립지 피해 당사자인 인천시민에게 정치권이 약속했던 것이니 지켜야 한다. 일관된 입장을 갖고 인천시민 편에서 주장하고 대안을 찾는 것이다.
새정치민주연합의 입장이 변경된 적은 없다. 유정복 시장의 생각은 정확히는 잘 모르겠다. 다만, 진행되는 일련의 사태를 봤을 때 ‘공약을 바꾼 것 아닌가?, 다른 방향에서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것 아닌가’라는 의구심이 든다.
모든 현안은 시민의 이해가 최우선이다.
Q 여야를 떠나 유정복 시장이 시민을 위해서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일은.
A 지방자치는 중앙보다 정쟁의 영역이 적다. 지방자치가 목표하는 ‘시민 행복’이나 ‘지역 발전’에서 여야가 크게 나뉠 수 없다. 개인적인 철학이나 소신으로는 인천의 삶과 미래를 위해 얼마든지 소통하면서 힘을 모을 수 있다고 본다. 시민과 또 당정과의 소통이 필요하다고 본다.
Q 총선이 일 년 남짓 남았다. 구상과 전망은.
A 인천지역 국회의원의 비율은 6대6으로 균형을 맞추고 있다. 이기려면 적어도 12석 중 10석 이상 얻어야 한다. 인천시민의 삶에 대해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 역량을 높이는 게 가장 우선순위다. 또 당원과 시민 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함께 정책을 발굴하고 시민 속에서 뿌리를 내리는 것이 필요하다.
Q 새정치민주연합은 견제하지 못한 야당으로서의 한계가 아쉽다.
A 지금 박근혜 정부의 지지율이 30% 밑으로 떨어졌지만, 국민이 새정치민주연합을 대안세력으로서 인정하지 않는 것이 안타까운 점이다. 인천시당도 환골탈태해서 새로운 활기를 되찾아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유제홍 김미경기자
사진=장용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