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2015 농업비전 ‘기술이 답이다’

중소 농가 자립역량 기르고 소비지·산지 ‘맞춤기술’ 보급

농촌진흥청은 올해를 기술농업의 현장 확산을 통해 농가 경영체 자립역량 향상의 원년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중소 가족농 경영개선과 소비지ㆍ산지 트렌드 반영 품목별 종합경영기술 보급, 개발 신기술 보급 확대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농진청은 중소 가족농 경영개선을 위해 육성 프로그램이 진행 중인 강소농(1~4년차) 대상 소득지원모델 개발을 확산하는 등 사후관리 강화로 자립경영기반이 지속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에 나설 예정이다. 또 신규농가에는 경영진단ㆍ교육ㆍ컨설팅 등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같은 기반구축을 위해 시ㆍ군 단위로 경영ㆍ마케팅 전문컨설턴트 양성 및 경영지도 컨텐츠 개발보급에도 적극 나선다. 특히 강소농 자율 모임체의 조직화(품종 동일, 생산ㆍ출하 등) 지원과 시범사업ㆍ농정사업과의 연계도 추진한다.

농진청은 소비지ㆍ산지 트렌드 반영 품목별 종합경영기술 보급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이를 위해 주요 작물별로 현장에서 즉시 활용 가능하고, 전문성 있는 품목별 컨설팅 매뉴얼을 개발ㆍ보급하는 동시에 소득조사 강화 및 생산자패널 구축 등 산지 동향 분석 작업도 진행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농진청은 개발 신기술 보급 확대에도 주력할 계획이다. 특히 농정현안 해결 중심 기술가공 및 확산을 통해 실용화를 촉진한다는 복안이다. 수요자 중심의 개발기술 심의 확대, 교육ㆍ연시(230회), 자료(60종), 시범사업(134종) 등 보급방식의 다양화를 꾀한다.

또 모바일 밴드(12종) 등 분야별 전문가 연계로 실시간 문제해결에도 적극 나서는 한편 홈페이지ㆍ유투브 등을 활용한 동영상 제작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농진청 관계자는 “올해 추진하는 농업비전의 핵심이 기술인 만큼 농가와 소비자 모두에게 이익을 줄 수 있는 기술 개발ㆍ보급에 앞장 서겠다”면서 “특히 기술과 관련된 각종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기술을 겸비한 전문농업인력 양성에도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김규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