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러리 개인 이메일 논란
힐러리 개인 이메일 논란…지지도는 여전히 ‘굳건’
유력한 차기 미국 대통령 후보로 꼽히는 힐러리 클린턴 전 미 국무부장관이 장관 재임 시(2009 ~2013년) 개인 이메일 계정을 사용한 것을 두고 곤혹을 겪고 있지만, 지지도는 여전히 굳건한 것으로 조사됐다.
10일(현지시각) 미국 NBC 방송과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2016년 민주당 대통령 후보로 클린턴 전 장관을 지지한다는 당원이 86%에 달했고, 반대한다는 의견은 13%에 불과했다.
찬반 격차가 무려 73%p에 달한 것이다. 클린턴 전 장관에 대한 호감도도 개인 이메일 사용에 대한 논란이 일기 전인 지난 1월과 별 차이가 없었다.
또 다른 민주당 잠재 후보인 조 바이든 부통령은 출마 지지자와 반대자의 비율 차이가 14%p(지지 54%, 반대 40%), 엘리자베스 워런(매사추세츠) 상원의원은 34%p(지지 51%, 반대 17%)로 나타났다.
힐러리의 이메일 논란은 그가 국무부장관 재임 시절 그가 공식 이메일(@state.gov) 대신 개인 계정 ‘HDR22@clintonemail.com’을 사용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불거졌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이 약 4년간의 재임 기간에 관용 이메일 계정을 만들지 않았으며, 개인 이메일들을 국무부 서버에 저장하는 연방기록법에 따른 조치도 이행하지 않았다고 지난 2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미 연방기록법은 연방 정부 관리들이 주고받은 편지나 이메일은 정부기록물로 보고 기밀이나 민감한 내용을 제외하고는 의회 위원회, 역사가, 언론인들이 찾아볼 수 있게 보관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은 10일(현지시각) 재직 시절 관용이 아닌 개인 이메일 계정을 사용한 것은 ‘편의’를 위한 것이었다고 말했다.
이날 미국의 주요 언론들은 클린턴 전 장관이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연설한 후 기자회견을 하고 국무부의 관용 계정을 이용하지 않은 것은 두 개의 계정을 유지하는 불편을 피하기 위한 취지임을 강조했다고 전했다.
클린턴 전 장관은 그러나 “두 개의 서로 다른 전화와 두 개의 이메일 계정을 이용했더라면 더 좋았을 것”이라며 개인 이메일만 사용한 것이 실수였음을 간접적으로 시인하면서도 “나는 내가 따라야 하는 규정을 충실하게 준수했다”면서 법규를 저촉한 게 아니라고 강조했다.
개인 이메일 서버는 남편인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을 위한 것으로, 정보기관의 보호를 받는 기물이기 때문에 보안상 저촉될 게 없다고 해명했다.
또 개인 이메일을 통해 국가 기밀 정보를 주고 받은 적이 없으며, 이것이 자신의 이메일 통신 내용을 감추기 위한 의도도 아니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자신의 이메일로 6만 개의 이메일을 주고받았으나 절반 정도는 개인 일상사에 대한 내용이어서 폐기했다면서 “저장할 이유가 전혀 없었다”고 말했다.
다만, 업무 관련 이메일이 정부에 제출됐음을 설명했다.
공화당은 정부 관리들의 편지나 이메일은 기밀이나 민감한 내용을 제외하고는 모두 정부기록물로 보관토록 하는 연방 법 위반이라며 연일 거센 공세를 퍼붓고 있다.
국무부는 클린턴 전 장관의 개인 이메일을 누구나 볼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통해 공개하기로 했다.
사진=힐러리 개인 이메일 논란, 미국 민주당의 유력 대선주자인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이 10일(현지시각) 뉴욕 유엔본부에서 연설한 후 기자회견하고 있다. 미 국무부는 이날 클린턴 전 장관의 재직 중 ‘’개인 이메일‘’을 웹사이트를 통해 공개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