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관광객 급증따라 ‘과당경쟁’ 43.4%는 원가이하 유치 경험
지난해 중국인 관광객(이하 유커)이 600만명을 넘어서며 사상 최고치를 달성했지만 정작 중국인 관광상품을 취급하는 국내 여행업체 10곳 중 4곳이 원가 이하로 영업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여행업체 300곳을 대상으로 조사ㆍ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1년간 원가 이하로 유커를 유치한 적이 있다”고 답한 기업이 43.4%에 달했다.
반면 ‘거의 없었다’는 기업은 43.6%, ‘전혀 없다’는 기업은 13.1%로 조사됐다. 원가 이하 영업에 대한 손실분을 보충하는 방법을 묻는 질문에는 54.8%가 쇼핑·옵션 확대라고 응답했다.
이어 다른 여행상품에 비용 전가(27.0%), 미래투자로 손해감수(11.9%), 품질수준 하향조정(6.3%) 등이 뒤를 이었다.
유커 증가 속도와 국내 업체 간 경쟁 심화 정도를 비교하는 질문에는 응답기업의 57.6%가 ‘유커 증가보다 국내 경쟁 심화가 더 크다’고 답했다. 국내 업체간 경쟁 심화의 원인에 대해 기업들은 시장 내 공격적 마케팅(54.2%), 신규 진입업체 급증(32.6%), 개별여행 증가에 따른 일감축소(15.6%) 등을 꼽았다.
국내 관광 인프라 부족도 문제로 지적됐다. 응답기업의 45.3%는 ‘관광 인프라 부족으로 서비스 저하가 우려된다’고 답했고, 45.3%는 ‘유커를 겨우 수용 가능한 수준’이라고 대답했다. 반면 ‘국내 관광 인프라가 충분하다’는 의견은 9.4%에 그쳤다.
유커 유치를 위한 정책과제로는 관광자원 개발(39.6%), 지방관광 활성화(18.8%), 여행편의시설 확충(15.5%), 관광산업 지원 확대·규제 완화(9.0%) 등이 차례로 언급됐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유커 1천만 시대를 열기에는 쇼핑 위주나 서울·제주 등에 편중된 관광 프로그램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한류 특화형 상품, 휴양림·문화자원을 활용한 지역관광 상품 등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말했다.
김규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