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인 강제징용 유네스코 세계유산’
조선인 강제징용의 한이 서려있는 일본 산업시설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록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어 충격을 주고 있다.
교도통신과 NHK 등 일본 언론은 지난 4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산하 민간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는 메이지(明治) 일본 산업혁명 유산 23곳을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록하도록 유네스코에 권고했다고 보도했다.
언론들은 ICOMOS가 23곳을 세계 문화유산으로서 ‘적합하다’는 판단하면서 “서양기술을 적극적으로 개량해 일본의 필요와 전통에 적합하게 만들어, 불과 50년 만에 본격적인 산업화를 달성했다”고 의미를 평가했다고 전했다.
세계 문화유산 등록의 최종 결정은 6월말부터 7월초까지 독일 본에서 열리는 제39회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회의에서 이뤄진다.
그러나 현재까지 일본 정부가 추천한 문화 유산 중 ICOMOS가 권고했다가 최종 단계에서 뒤집힌 사례는 없는 만큼 세계문화 유산 등재가 유력해진 상황이다.
세계유산위원회에서는 21개 위원국이 합의를 거쳐 등록 여부를 결정한다. 위원회에는 한국과 일본이 나란히 포함돼 있어 치열한 논쟁이 예상된다.
이에 한국 정부는 조선인 강제징용 현장이 세계 유산에 등록되는 것은 인류보편적 가치를 지닌 유산을 보호하는 세계유산협약의 기본정신에 위배된다는 점을 들어 위원국가들을 상대로 등록 반대 외교전을 펼 예정이다.
하지만 1차 저지선이자, 결정적인 ‘승부처’인 ICOMOS에서 권고를 막지 못함에 따라 대일 외교전 실패 논란이 다시 불거질 전망이다.
박민수기자 kiryang@kyeonggi.com
사진= 조선인 강제징용, 연합뉴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