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대] 신중한 판단

박수철 사회부 차장 scp@kyeonggi.com
기자페이지

국방부가 지난 14일 수원공군비행장 이전사업에 대한 ‘적정’ 판정을 내리면서 수원지역은 그야말로 축제 분위기다. 국방부는 다음 달께 최종결과를 발표하고 하반기 예비이전후보지를 선정, 주민투표를 통해 이전부지를 결정한다는 구상이다.

염태영 수원시장은 ‘수원화성 축성 이래 최대 사건’이라고 표현하며 격하게 환영하고 나섰다. 그도 그럴만한 것이 지난 1954년 조성된 수원 군 공항(486만㎡)이 수원 도심 중심부에 위치하면서 심각한 소음 및 학습권 피해는 물론 서수원지역 발전을 가로막는 원흉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지난 2009년 실시된 조사연구 용역 결과에 의하면 수원시 전체 면적의 21%인 26.2㎢가 75웨클 이상 소음피해 지역으로 4만9천507가구(13만5천여명)가 고통을 받고 있다. 또 소음으로 인한 건강권 피해가 7천663억원, 건축물 고도 제한 등 재산권 피해는 1조5천334억원에 달하고 있다. 뒤늦게나마 비행장 이전 가시화가 여간 반가울 수밖에 없는 이유다.

그러나 여주, 화성 등 예비이전후보지로 예상되는 10개 지자체들이 극심한 반발입장을 표출, 국방부의 최종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우려되고 있다.

여주시의회는 지난 20일 ‘수원군공항 예비이전 후보지 선정반대 결의문’을 채택했으며 앞서 화성시의회는 지난 2월 ‘수원군공항 화성시 이전 반대 결의안’을 채택하는 등 반발여론을 주도하고 있다. 나머지 광주와 안산, 안성, 양평, 용인, 이천, 평택, 하남 모두 반대입장을 보이고 있다.

물론 지난 수십 년간 주민피해와 도심발전 저해 요인으로 지목돼 온 군공항 이전 대상지로 거론되는 것 자체에 대한 해당 지자체들의 거부감도 충분히 이해되는 대목이다. 다만 시기상 이른 면이 없지 않아 자칫 지자체간 갈등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좀 더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최종선택이 주민투표에 달려있는 것이라면 국방부의 결정을 지켜본 후 합리적인 판단을 해도 늦지 않다는 것이다. 수원공군비행장 이전 프로젝트가 어떻게 결정되든 경기 남부권 지자체들간 갈등이나 분열 요인이 아닌 상생을 위한 한 기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박수철 사회부 차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