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노트] 주민 갈라놓은 캠핑·승마체험장 과천시의회가 나서 해결해야

“중앙 정치인이나 지방 정치인이나 권모술수, 정략적인 정치에 너무 익숙해 있어요” 과천지역 한 사회단체장이 과천 캠핑장과 승마체험장 건립을 놓고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정치인을 보고 내뱉은 푸념이다.

최근 과천지역은 갈현동 밤나무단지에 추진중인 캠핑장과 승마체험장 사업 때문에 주민 간 갈등이 심각하다. 찬성측과 반대측이 시민단체를 결성해 기자회견과 서명운동을 전개하면서 충돌사태를 빚는 등 갈등과 반목의 골은 깊어만 가고 있다.

이 틈새를 노리고 탐욕스런 정치인들까지 고개를 들고 있다. 선거에서 낙선된 일부 정치인이 시장 주민소환을 준비하고 있다는 얘기가 들린다. 시의원 출신인 이들은 최근 모 식당에 모여 주민소환에 대해 논의하고 7월 본격적인 주민소환을 추진키로 했다고 한다. 이들은 주민소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총선후보의 경선이 시작되는 1∼2월에 맞춰 소환을 준비하고 있다고도 한다.

후보의 경선이 시작되는 내년 초 소환이 이뤄질 경우 총선 때 시장 보궐선거를 치를 수 있기 때문이다. 시민들의 갈등과 분열 조장에 이어 시장 흔들기, 주민소환, 총선 후보경선 시기까지 계획이 참 절묘하다. 참으로 우려스런 상황이다.

이제 누군가 나서야 한다. 그 주체는 다름아닌 시민 대표기관인 시의회다. 시의원들은 공론의 장으로 나와 이 사업의 효율성과 편의성은 있는지, 장소는 타당한지, 예산낭비 소지는 없는지 격렬하게 토론해야 한다. 또 집행부의 책임과 대책을 따져야 한다. 그리고 집행부와 논의를 걸쳐 결론을 내야 한다. 이런 민주적인 절차를 밟는 것이 바로 지방자치제이다.

지난 4월 경기도에서 열린 캠핑장과 승마체험장 사업의 투융자심사가 반대민원 때문에 오는 8월로 연기됐다. 시의회는 이 기간안에 결론을 내야 한다. 사업의 효율성과 타당성, 편의성, 자연훼손과 예산낭비 문제 등을 꼼꼼히 따져 사업추진 여부를 결정지어야 한다.

그래야 시민들의 갈등과 분열, 탐욕스런 정치인의 권모술수를 막을 수 있다. 아쉽지만 현재까지 그 누구 하나 나서지 않고 있다. 대화와 타협으로 갈등을 봉합하고 화합을 다지는 과천시의회를 기대해 본다.

과천=김형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