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대] 도립의료원 수원병원 이전

김동식 사회부 차장 dsk@kyeonggi.com
기자페이지

수원지법ㆍ지검이 광교신도시로 들어가기로 결정되기 전 서수원이 수원지법 이전 부지로 검토된 적이 있다. 서울 농생대가 후보지 중 하나였다. 대법원 관계자들도 직접 현장을 찾아 타당성 여부를 확인하기도 했었다.

그러나 수원비행장 항공기의 이륙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들은 대법원 관계자들은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었다. 방음벽을 설치해 소음을 줄일 수 있다는 설명에도 불구, 대법원 관계자들은 귀를 찢는 듯한 소음으로 서울 농생대 부지로 수원지법을 이전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서수원 일대는 항상 수원시의 아픈 새끼손가락으로 여겨졌다. 수원비행장으로 인해 각종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으면서 나날이 발전해가는 동수원에 비해 낙후된 서수원을 개발하기 위해 수원시는 갖가지 노력을 기울였으나 쉽지 않았다.

이중 대표적 사례가 종합병원 유치였다. 수원시에는 아주대학병원(1천86병상), 빈센트병원(791병상), 동수원병원(428병상) 등 종합병원이 모두 동수원권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수원시는 수년간 호매실택지개발지구에 종합병원 부지를 마련, 5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을 유치하고자 했지만 실패했다.

하지만 최근 수원시가 경기도에 도립의료원 수원병원의 이전 검토를 타진했다고 한다. 민간 종합병원들이 서수원 진출에 관심이 없는 상황에서 사실상 종합병원 기능을 갖고 있는 도립의료원 수원병원을 호매실로 이전하면 서수원권의 의료 인프라가 크게 개선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 나온 생각인 듯하다.

또 메르스 사태와 같은 전염병 발생시 이를 대처할 수 있는 경기도 거점 병원으로 조성한다는 명분을 갖고 중앙정부의 지원도 받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도 갖고 있다.

문제는 3천억원이 넘는 막대한 예산이 필요한데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정치인들이 이해득실을 따지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는데 있다. 수원시는 도립의료원이라는 이유에서 예산을 부담할 근거가 없고 경기도 실무부서는 시급한 사안이 아니라는 등의 이유에서 부정적 입장이다.

또 ‘도립의료원을 서수원에 빼앗긴다’는 생각에다가 정치적 논리가 우선, ‘전염병 시설이 들어온다’는 식의 유언비어도 나올 수 있다.

하지만 균형발전이라는 목표 앞에서 ‘돈이 많이 든다’거나 지역이기주의적 행동은 지엽적인 문제다. 서수원의 발전을 통해 수원시 전체의 이익을 도모할 수 있다. 이에 따른 이득도 수원시 전체에 고루 돌아간다. 도립의료원 수원병원 이전 여부가 수원시의 해묵은 동-서간 불균형 해소의 시작으로 자리 잡을지 주목된다.

김동식 사회부 차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