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아파트 단지 내 택배차량 진입 거부 등 택배 이용과 관련된 문제점이 사회적으로 불거지는 가운데 정부가 ‘공동 거점형 택배시스템’을 도입하기로 했다.
16일 국토교통부는 배달 지역의 특성을 구분해 맞춤형으로 배달하는 ‘공동 거점형 택배시스템’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기본 형태는 두 단계다. 우선 국내 17개 택배사가 지정된 ‘배송거점’까지 물건을 운반한다. 이후 거점부터 각 개인으로의 배달은 1개 택배사에 맡기거나, 마을 노인·이장 등 해당 지역 인력이 활용된다. 무인택배함이 없는 영구임대주택 단지 등에는 장기 미임대 상가에 유휴공간을 마련해 공동택배 보관소를 마련하고, 기존 실버택배와 연계할 예정이다.
노인인력 등 지역주민을 택배 보관·관리·배송원으로 최대한 활용하겠다는 구상으로 복지부의 노인지원 예산도 투입할 계획이다.
도서·산간지역에서도 택배사들로부터 짐을 받아 마을 주민이 각 가정에 배달하는 맞춤형 공동택배 시범사업이 시행된다. 이주열 국토부 물류산업과장은 “택배사·지자체·지역 주민들의 협의를 이끌어 내고, 공동택배거점 설치근거 마련을 위한 관련 규정 개정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김규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