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개혁 대타협 이후… ‘일반 해고제’ 끝없는 논란
노동개혁을 골자로 한 일명 ‘노사정 대타협’이 이뤄졌으나 여전히 노동계의 반발은 계속되고 있다. 반발의 핵심은 일반해고제다.
일반해고는 저성과자나 근무불량자를 해고하는 것으로, 노동계에서는 ‘쉬운 해고’를 위한 개악이라는 주장이다. 정부에서는 막무가내식 해고는 없을 것이라 설명하고 있지만, 우려는 쉽사리 가시지 않고 있다. 일반해고와 관련해 가장 큰 논란이 되고 있는 ‘저성과자’에 대해 짚어본다.
■ 73.5% “저성과자 관리프로그램 全無”
일반해고에서 의미하는 저성과자, 근무불량자에 대한 정확한 기준은 현재 마련돼 있지 않다. 일반해고 자체가 현행 근로기준법상에 명시돼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회사별로 이를 판단할 근거를 만들어 놓은 것도 아니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경영컨설팅업체 아인스파트너와 함께 ‘직장인이 체감하는 저성과자 관리’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보면, 직장인 73.5%가 근무하는 회사에 저성과자 관리 프로그램이 없다고 응답했다. 문제는 ‘저성과자’의 발생 원인을 기업 등에서 주로 직장인 개인의 책임으로 돌린다는 점에 있다.
그러나 이번 조사에서 저성과자가 발생하는 원인으로 역량ㆍ자질부족 등 본인의 문제라는 응답은 31.8%에 불과했다.
나머지 68.2%는 직무의 미스매칭 등 조직 문제, 직속 상사의 관리능력 문제, 회사나 경영진의 관리소홀 등 조직 문화나 관리의 부재를 꼽았다. 직장인이 참여한 설문이지만, 저성과자 발생을 단순히 개인 문제로만 돌릴 수는 없다는 의견이 반영된 것이다. 일반해고를 도입하는 데 대해 ‘쉬운 해고’라는 우려가 나올 수밖에 없는 이유다.
■ “자질 부족…조직 분위기 망쳐” 우리 회사엔 필요없어?
그렇다고 해서 직장인들이 저성과자 선별 자체를 반대하는 것은 아니다. 기업에서 저성과자를 선별하거나 이들을 위한 제도를 운영하는 것에 대해 직장인 68.4%는 찬성하는 의견을 나타냈다.
저성과자나 근무불량자는 기업 내 조직 분위기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만큼 이에 대한 선별 자체에 대해서는 거부감이 적었다.
다만 성과가 낮다고 해서 곧바로 해고로 이어져서는 안된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직장인들은 저성과자 관리 프로그램이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역량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30.6%)이 선행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와 함께 저성과자 선발 기준의 객관성과 신뢰성, 타당성 확보(29.3%)는 물론 개선의 기회를 주기 위한 상담과 코칭(28.7%)이 병행돼야 한다고 응답했다.
신경수 아인스파트너 대표는 “저성과자 관리를 위해서는 경영자와 관리자, 직원 개인이 삼위일체가 되어 적극적으로 고민을 해야 하며, 그 방향성은 외재동기보다 내재동기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관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