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징계 직원 61건달해 금품·향응수수 12건으로 ‘최다’ 회장 측근 렛츠런재단 대거 채용 삼성출신 무더기 코드인사 논란
한국마사회 2급 이상 고위직들이 금품수수와 향응, 공금횡령 등으로 중징계를 받고 말 산업과 관련한 사회공헌 사업을 하는 렛츠런재단은 회장 측근들로 임원이 채워져 낙하산 인사라는 비판이 제기되는 등 마사회의 청렴성과 불합리한 인사가 도마위에 올랐다.
5일 한국마사회에서 열린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 국정감사에서 박민수 의원(새정치, 진안ㆍ무수ㆍ장수ㆍ임실)은 지난 2011년부터 올해까지 직원들에 대한 징계는 총 61건에 달하고 직급별로는 1급 12건(19.7%), 2급 13건(21.3%), 3급 12건(19.9%), 4급 13건(21.3%)이었다고 밝혔다.
이중 금품 및 향응 수수 건이 12건(2억 6천여만원), 공금횡령 3건(1억400만원)이며 이에 대한 징계는 면직 9건, 정직 6건, 감봉 8건, 근신 13건, 견책 25건으로 나타나 마사회 직원들의 청렴성이 의심받고 있다고 박 의원은 질타했다.
지난 6월과 7월 3급 직원 2명이 서울 청소용역과 관련, 금품을 받은 혐의로 면직과 감봉처분을 받았으며 1급 직원도 지난 2013년 경마공원 커피전문점에서 뇌물을 받아 면직처분됐다.
박 의원은 “사행산업인 경마가 큰 자금을 운용하는 만큼 직원들의 청렴성이 강조되고 있는데도 뇌물수수와 향응 등 비리가 끊이지 않고 있다”며 “마사회는 지속적인 감사와 감독을 통해 직원들의 비리를 근절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렛츠런재단은 현명관 회장 측근들이 임원들로 대거 채용된 것으로 드러나 낙하산 인사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김승남 의원(새정치, 전남 고흥ㆍ보성군)은 “지난 2014년에 출범한 렛츠런재단은 현명관 회장을 비롯해 총 7명의 임원 중 6명이 삼성출신이거나 범 삼성계열, 전경련 출신”이라며 “특히 현 회장이 지난 1999년 삼성그룹 비서실장을 역임했을 당시 비서실 차장이었던 L씨는 현재 렛츠런재단과 창조와 혁신 등 두 단체의 이사를 겸임하고 있는 등 현 회장의 측근들을 대거 채용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또 현 회장이 지난 2013년부터 ‘창조와 혁신’이라는 사단법인의 대표를 맡고 있는데 렛츠런재단 당연직이사 1명을 제외한 임원 전원이 창조와 혁신의 정회원으로 등록돼 있어 개선이 시급하다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삼성출신의 낙하산 인사문제는 현 회장이 공기업인 마사회를 개인기업으로 생각하고 운영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심히 우려스럽다”며 “재단은 편법을 바로 잡고 설립 취지에 맞게 운영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과천=김형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