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종 드림아일랜드’ 민의 역행 인천시 ‘강건너 불구경’ 책임론

한상, 해수부에 승인 요청 사업변경안
인천공항고속道 IC·인천공항철도 역사
영종도 내 이전 등 주민 ‘상생안’ 배제

인천시의회가 주민의 뜻과 반대로 가고 있는 ‘영종 드림아일랜드 사업(본보 8월13일자 3면)’에 인천시의 책임론을 제기했다.

 

김정헌 시의원(새·중구2)은 20일 열린 제227회 인천시의회(임시회) 1차 본회에서 “‘인천항 영종도 준설토 투기장 항만재개발사업(드림아일랜드 조성)’의 민간사업자가 최근 해양수산부에 사업계획 변경안 승인을 요청했는데, 계획엔 주민의견이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면서 “상황이 이런대도 인천시는 나 몰라라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해수부는 지난해 7월 민간사업자인 (주)세계한상드림아일랜드와 실시협약을 맺고, 영종도 준설토 투기장(331만 5천여㎡)에 오는 2020년까지 2조400억 원을 들여 해양문화관광지구와 복합상업시설, 체육시설(골프장) 등으로 개발하기로 했다.

 

그러나 한상 측의 사업계획에는 주민들의 의견이 거의 배제돼 있다. 특히 최근 내놓은 사업계획 변경안에는 그나마 있던 주민의견도 제외됐다.

 

주민들은 사업구역(준설토투기장) 안에 계획돼 있는 인천공항고속도로 나들목과 인천공항철도 역사를 영종도 내로 이전해야만 영종과 한상 측이 상생할 수 있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김 의원은 “항만재개발(항만법 51조)은 주변지역을 효과적으로 개발하고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원칙”이라며 “현재 사업자의 계획대로 되면 관광객이 굳이 영종도까지 올 필요가 없어지니 영종도는 개발 효과를 전혀 기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되레 관광객을 빼앗기게 된다. 애초 재개발 목적이 상실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주민들은 사업자가 드림아일랜드 내 자체 시설을 마련하지 않고, 기존 영종 주민을 위해 설치한 운북하수처리장(하수처리)과 영종배수지(상수공급)를 이용하는 점도 문제 삼았다. 하늘도시 등 주민들이 입주할 당시 설치한 기반시설에 손쉽게 ‘숟가락만 올리는 모양새’가 됐기 때문이다.

 

특히 변경안에는 주민들이 유일하게 찬성했던 내용이 삭제돼 주민들의 반발을 키우고 있다. 사업계획 초안에는 드림아일랜드 부지와 영종도 미개발지를 잇는 추가 진입도로(교량)가 있었지만, 변경안에는 삭제됐다. 관광객이 영종도로 유입될 수 있는 길목을 없앤 것이다.

 

김 의원은 상황이 이런대도 정작 인천시는 손을 놓고 있다고 질타했다.

 

김 의원은 “유정복 시장은 물론 철도와 항공 등 교통분야에서 전문가라 일컬어지는 홍순만 경제부시장 등 인천시 지원이 시급하고 절실한 상황이다. 주민을 보듬는 것은 1차적으로 인천시의 의무이자 책임”이라면서 “조만간 시의회도 결의안을 마련해 해수부에 전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동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