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 파주로 옮기자” vs “지원시설만 가자” 길 잃은 국립민속박물관 이전 사업

경복궁 2차 복원… 새 부지 찾아야 박물관, 수장고·정보센터만 분리 추진
“예산낭비” 기재부는 전체 이전 요구 양측 팽팽한 기싸움에 건립계획 차질

국내 유일의 생활문화박물관인 국립민속박물관의 ‘수장고 및 정보센터’ 파주이전 계획이 난항을 겪고 있다.

정부 예산편성권을 가진 기획재정부는 국립민속박물관 전체 파주이전을 요구하고 있으나 국립민속박물관측은 핵심시설은 서울에 두고 지원시설(수장고 등)만 파주로 이전하겠다는 입장을 고집하고 있기 때문이다.

 

27일 기획재정부와 국립민속박물관, 파주시 등에 따르면 현재 경복궁안에 있는 국립민속박물관은 문화재청의 경복궁 2차 복원정비기본계획(2011~2030년)에 따라 철거 예정에 있다.

 

이에 박물관측은 박물관신규건립사업이 2013년 예비타당성조사 면제사업으로 선정된데 이어 지난해 연면적 3만3천869㎡규모로 2천45억원(부지매입비 246억원)을 들여 짓는 국립민속박물관 이전 건립사업계획 적정성 검토까지 마무리되자 내년부터 박물관 건립에 본격적으로 나설 방침이다.

 

박물관측의 박물관 이전건립계획에는 유물보관장소인 수장고 과밀해소를 위해 431억원을 들여 수장고와 연구용 지원시설만을 분리해 기재부 소유땅인 파주 탄현면 통일동산지구 내로 오는 2020년까지 이전신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대신 전시, 교육, 공원 등 핵심시설은 서울 용산가족공원(문화관광부와 서울시부지)으로 이전 건립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예산심의과정에서 이같은 박물관측의 시설 이원화 운영계획에 제동이 걸렸다. 기재부가 박물관건축기본조사설계비 25억원을 내년도 정부 본예산에 편성시켜주는 조건으로 박물관 향후 운영 효율성을 들어 분리운영보다는 아예 통째로 박물관을 파주로 이전하는 ‘동일대지운영’을 요구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사실상 같은 기능을 가진 건물을 두개로 쪼개 서울과 파주로 분리해 운영하는 것은 예산낭비 등 너무 비효율적이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박물관측은 “연간 327만명이 박물관을 찾고 이 중 외국관광객만도 270만명에 달하는데 박물관 전체를 파주로 옮기는 것은 관광전략상 심각한 문제가 있다”며 “기재부가 예산편성조건으로 동일대지운영을 주장하면 파주이전건립은 재검토가 불가피하다”고 난색을 표명했다.

 

한편 1946년 경복궁안에 개관한 국립민속박물관은 연 25억원 안팎의 예산으로 조선~근현대의 보존가치가 높은 가구, 그릇, 의식주관련 생활문화용품 12만4천여점을 보관중이다. 

파주=김요섭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