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15경기 실책수 416개 1분28초에 1번 나온 꼴 ‘암담’
‘포인트 가드’ 부재가 주원인
경기를 하다 보면 실책을 범할 수 있다.의욕이 몸보다 앞서면 충분히 그럴 수 있다.그런데 올 시즌 여자프로농구를 보면 조금 과하다.약간의 과장을 보태자면 ‘툭’ 하면 실책이다.
지난16일 부천실내체육관에서 벌어진부천 KEB하나은행과 인천 신한은행의 경기에선 종료9초를 남기고 실책3개가 연이어 나오는 웃지 못할 상황도 벌어졌다.이쯤 되니 승패도 누가 잘해서가 아닌 누가 덜 못하느냐에 따라 갈린다.실제로 이날 경기는 막판에 실책을 하나 덜 한KEB하나은행이 이겼다.
정규리그1라운드가 끝난17일 현재6개 구단이15경기를 치르면서 저지른 실책 수는 총416개다.경기 당 평균27.3개로 정규시간인40분으로 환산해보면1분28초 간격으로 실책이 나온다는 계산이 선다.이렇다 보니 감독 입장에서는 미치고 펄쩍 뛸 노릇이다.
기껏 준비한 작전을 써보기도 전에 공격권이 뒤바뀌어 버리기 때문에 허탈할 따름이다.보는 팬들 입장에서도 잦은 실책으로 경기 흐름이 끊기는 바람에 맥이 빠질 수밖에 없다.
여러 원인이 있겠지만,역시 포인트가드가 없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다.포지션 파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현대농구에서 정의를 확실히 내릴 순 없겠다만,포인트가드는 공격을 조율하는 포지션이다.
때문에 포인트가드가 중심을 잡아주지 못하면 팀 공격 전체가 흔들리게 되고 실책이 나올 가능성이 커진다.이를 증명하듯 이번 시즌 여자프로농구서 실책1·2위 달리고 있는 구단은 주전 포인트가드 최윤아와 신지현이 부상으로 이탈한 신한은행(평균16.2개)과KEB하나은행(15.8개)이다.
과거 ‘겨울스포츠의 꽃’이라 불리며 많은 팬들의 사랑을 받은 여자농구의 근간에는 전주원(은퇴),이미선(삼성생명),김지윤(은퇴)등 특급 포인트가드들이 있었다.국제무대에서도 이들이 함께 활약하던2000년 시드니올림픽에서 4강 신화를 썼었다.
그러나 현재 여자농구에는 걸출한 포인트가드가 없다.중국과 일본에 밀려 올림픽 본선 무대를 밟기조차 힘들게 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농구에는 이런 격언이 있다. ‘가드는 관중을 즐겁게 한다’. 여자농구 지도자들이 되새겨야 할 격언이다.
조성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