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대] 삼성전자 이전 ‘說’

김종구 논설실장 kimjg@kyeonggi.com
기자페이지

10월 3일. 모 경제신문 기사로 시민의 관심이 집중됐다. ‘[단독]삼성전자, 본사기능 서초에서 수원으로 이전’이란 제하의 기사였다. 삼성전자 서초사옥의 주요 지원기능이 수원으로 옮긴다는 내용이었다. 기획, 홍보, 법무, IT 서비스 등 구체적 이전 분야까지 지목됐다. 최대 수혜지역은 수원 영통 지역이라는 후속 기사들이 뒤따랐다. 가장 예민하게 반응한 것은 부동산 시장이었다. 수원 영통, 망포 등의 아파트 거래가가 올랐고 매물이 사라졌다. ▶그리고 두 달여. 지역 내 부동산 경기는 다시 가라앉았다. 매물은 늘었고 거래는 중단됐다. 수원지역만의 현상은 아니다. 정부의 대출 규제 방안이 구체화됐다. 미국 연방준비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올렸다. 겨울이라는 계절적 요인까지 겹쳤다. 전국의 모든 부동산이 얼어붙었다. 그런데도 수원 지역의 부동산 심리는 약간 다르다. 두 달 전 보도됐던 삼성전자 본사 이전설을 여전히 기웃댄다. 전체 상황과 관계없는 수원만의 부동산 호재가 될 수 있을 거라는 기대를 갖고 있다. ‘삼성 본사만 오면…’. ▶조용한 두 달이 지나자 관심이 다시 기사로 옮겨간다. ‘과연 믿을 수 있는 기사냐’부터 ‘오보나 과장 보도 아니냐’는 의심이 커진다. 들여다보면 어느 기사에도 정확한 취재원은 없었다. 그저 ‘삼성 관계자’ ‘고위 관계자’ 등의 익명만 있었다. 삼성 전자 수원 사업장의 관계자들 입장도 비슷하다. ‘우리도 기사 보고 알았다’ ‘내부적으로 이전에 대한 어떤 입장도 전달받지 못했다’는 말뿐이다. ▶그렇다고 부정적인 결론을 내기도 뭣하다. ‘이전에 대비해 일부 사무실을 리모델링 하고 있다더라’라거나 ‘기자들이 서울에 있는데 공보 기능만 수원으로 온다는 것을 고민하고 있다더라’는 등의 말도 나온다. 이전이 수원에 미칠 영향력에 대한 평가들도 흘러나온다. 500~1천명 수준으로 지역에 미칠 이전 효과는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언도 있고, 본사 기능의 이전이라면 연관 기업의 동반 이전을 유발해 상당한 파괴력이 있을 것이라는 전언도 있다. 물론 이런 평가자들 역시 ‘개인 생각이니 기사에 쓰지 말라’는 당부를 곁들인다. ▶돌아보면 늘 그랬다. 월급봉투가 있던 시절, 삼성전자의 월급날은 남문 재래시장 상인들엔 대목이었다. 삼성전자가 실적호조로 2조원대 보너스를 받았다던 몇 해 전, 수원 사업장 일대 원룸 가격이 일제히 오르기도 했다. 주가 총액 20%를 움직이는 삼성, 지역 경제 20%를 담당하는 삼성의 위력이다. 그 삼성전자발(發)-출처가 확인되지 않았지만- 본사 이전이라는 화두가 또 한 번 지역을 뒤흔들고 있다.

김종구 논설실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