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수도권 주택 경매 시장에서 전용면적 60㎡ 이하, 감정가 1억∼3억원 미만의 아파트가 가장 큰 인기를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법원경매전문회사 지지옥션이 올해 수도권 아파트(주상복합아파트 포함)의 면적별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을 조사한 결과 전용 60㎡ 이하의 소형 아파트가 평균 97.1%로 가장 높았다.
이어 60∼85㎡ 이하 중소형 아파트의 낙찰가율이 95.6%로 두번째로 높았고 85∼120㎡ 이하 중대형이 92%, 120㎡ 초과 대형이 86.8%로 뒤를 이었다.
낙찰률(경매 진행건수 대비 낙찰건수 비율) 역시 60㎡ 이하가 58.8%로 가장 높았고 60∼85㎡ 이하가 55.6%, 85∼120㎡가 50.8%, 120㎡ 초과가 49.1%를 기록했다. 금액별로도 역시 중소형 아파트를 구입할 수 있는 1억원 이상∼3억원 미만의 아파트가 가장 선호도가 높았다.
이 금액대 아파트의 낙찰가율은 평균 95.1%로 가장 높았고 평균 응찰자수는 9.7명, 낙찰률 56,2%로 모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어 3억원 이상∼6억원 미만의 주택이 낙찰가율 91.7%, 평균 응찰자수 8.9명으로 뒤를 이었고 1억원 미만이 89.1%, 7.4명의 순이다.
이처럼 중소형 아파트가 경매시장에서 인기를 끈 것은 수도권의 극심한 전세난으로 인해 경매를 통해 시세보다 싼 값에 내집마련을 하려는 수요자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또 저금리 기조가 장기화하면서 주택 임대사업을 통해 고정 수입을 얻으려는 은퇴 세대나 시세차익을 기대한 투자수요도 경매시장에 대거 가세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창동 지지옥션 연구원은 “내년에도 수도권의 중소형 경매 아파트는 전세난 등을 피해 내집 마련을 하려는 실수요자들에게 큰 인기를 끌 것”이라고 말했다.
김규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