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0만건에 육박하는 주택매매가 성사되면서 거래량이 관련 통계를 시작한 2006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1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주택거래량은 2014년(100만5천건)보다 18.8% 증가한 119만3천691건으로, 종전 최대치인 108만2천453건(2006년)을 11만건 가량 상회했다.
국토부는 지난해 주택시장에 대한 회복 기대감이 컸고, 전세난에 전세를 구하던 실수요자들이 주택을 매입해 주택거래량이 크게 늘었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주택거래량을 지역별로 나눠보면 수도권이 61만1천782건으로 전년보다 32.4%, 지방이 58만1천909건으로 7.2% 증가했다. 수도권에서 서울의 주택거래량은 49.5% 증가한 22만1천683건, 인천과 경기는 각각 25.0%와 24.1% 늘어난 8만1천773건과 30만8천326건으로 집계됐다.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가 14.0% 늘어난 80만8천486건이 매매됐고, 연립ㆍ다세대주택이 33.5% 증가한 21만7천279건, 단독ㆍ다가구주택이 25.8% 많아진 16만7천926건이 거래됐다.
이와 함께 지난해 전국에서 거래된 아파트 분양권 시가총액은 40조9천327억990만원으로, 전년(29조8천885억5천563만원)보다 36.9%(11조441억5천427만원) 상승했다. 시ㆍ도별로 보면 부산의 분양권 거래 총액이 7조5천29억3천656만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고, 이어 경기(7조3천433억8천487만원), 경남(4조7천94억79만원) 등의 순이었다.
또 전년 대비 분양권 거래 시가총액 증가율이 가장 큰 지역은 제주로 전년(761억6천761만원)보다 141.7%(1천841억6천128억) 늘어났다.
김규태ㆍ김미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