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기업은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하여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등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 판매 등 영업 활동을 하는 기업”이다.
이를 종합하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사회적 목적을 위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사회적인 발전을 이끌어 나갈 수 있는 사회적 기업 육성을 통해 일자리 창출, 창조경제, 경제민주화를 이룰 수 있는 대안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이렇게 창조경제를 기반으로 하는 사회적기업을 지방자치단체에서 효과적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첫째, 네트워킹으로 창조적 사회적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아이디어 발굴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개인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하여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할 수 있는 네트워킹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둘째, 창업과 참여로 이러한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정제(피드백)하고 사업화가 가능하도록 아이디어를 실체화하는 과정을 통해 사회적 기업으로 창업 및 참여하도록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셋째, 시장경쟁력 확보로 사회적 기업으로 진입한 기업들을 시장속에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자생력을 갖출 수 있어야 한다.
이에 고양시도 현장에서 지속적인 작은 실천을 하려한다. 첫째, 네트워킹은 창조적이고 혁신적인 사회적 기업에 대한 아이디어를 발굴하기 위해 ‘13년부터 “사회적기업 아이디어 공모전”을 개최하여 고양시 만의 특화된 창조적 아이디어를 발굴해 나가고 있다.
셋째, 시장경쟁력 확보는 기업들과 함께 체계적으로 상용화, 마케팅, 판로개척, 네트워킹 등 경기도, 고양시, 진흥원 등 모든 지원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마음껏 발현할 수 있도록 생태계를 조성하고 있다.
이렇게 고양시는 개개인의 창조성 실현을 통해 사회적 목적을 중심으로 경제적 이익 실현이 가능한 창조적인 고양시, 경기도를 거쳐 대한민국형 사회적 기업을 육성하여 창조경제 활성화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는 성공적인 모델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갈 계획이다.
김인환 고양지식정보산업진흥원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