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뉴스테이 사업 구조 개선 등 통해 재무적 투자자 투자 유도

정부가 ‘기업형 임대주택’(이하 뉴스테이) 사업 구조 개선 및 위험 축소 방안을 통해 연기금과 금융회사 등 재무적 투자자(FI)의 적극적인 투자를 이끌어낸다는 방침을 세웠다.

국토교통부는 3일 뉴스테이에 대한 재무적 투자자(FI)의 사업 참여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우선 국토부는 뉴스테이 리츠에 참여한 FI들이 뉴스테이 임대 중에도 배당을 받을 수 있도록 사업구조를 개선한다. 현재 뉴스테이 사업은 임대기간이 끝나고 뉴스테이를 매각(분양)할 때 매각수익으로 FI들에 수익을 배당하는 구조로 돼 있다. 뉴스테이 대부분이 보증금은 많이 받고, 월세는 적게 받는 준전세여서 임대기간에는 사업비를 포함한 임대비용이 수입(월세)보다 많기 때문이다.

 

국토부는 또 주택도시기금과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출자한 토지지원리츠가 사들인 땅을 뉴스테이 리츠에 빌려주는 방식인 ‘토지임대형 뉴스테이’도 도입한다. 뉴스테이 리츠가 땅을 빌려 쓰게 되면 사업비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토지매입비용을 조달하는데 필요한 금융비용도 절감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국토부는 뉴스테이 사업에 참여하는 FI들이 부담해야 할 리스크를 줄이는 방안도 내놓았다. 먼저 지난해 도입한 뉴스테이 허브리츠가 채권을 발행하고 이를 FI가 사는 방안을 상반기 추진한다. 뉴스테이 허브리츠는 모리츠로, 실제 뉴스테이 사업을 하는 자리츠에 출자한다.

 

 FI들이 모리츠인 뉴스테이 허브리츠의 채권을 사면 실제 뉴스테이 사업을 수행하는 자리츠에 간접 출자하면서도 직접출자에 따른 리스크는 피하고 시기마다 이자를 받을 수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방안으로 뉴스테이 사업에 참여하는 재무적 투자자들의 안정적인 배당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에 따라 뉴스테이에 참여하는 투자자들도 늘어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규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