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기지역에서 작업 중 안전사고로 사망한 근로자는 176명에 이른다. 이는 전국 806명의 21.8%를 차지하는 것으로, 16개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가장 높다. 대부분이 기본적인 안전수칙을 지키지 않아서 일어난 사고다.
이러한 사망사고는 근로자 개인의 입장에서 보면 억울한 죽음이고, 남은 가족에게는 큰 아픔이다. 또한 사망사고로 인한 직접비용과 노동력 상실 등에 따른 간접비용 등 회사와 국가적으로도 크나큰 경제적 손실이 발생한다. 그래서 사망사고는 일어나서는 안 된다. 이를 위해 우리 모두가 더욱 신경을 써야 할 일이다.
정부에서는 ‘작업 전 안전점검, 당신의 생명을 지킵니다.’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매년 안전관리 취약 사업장에 기술·재정·교육지원을 해 오고 있다.
우리 지역의 산업재해 예방을 감독하는 고용노동부 경기지청에서도 지난 2월24일 ‘산재 사망사고 예방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지역사회 유관기관 간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모든 사업을 사망사고 예방에 집중하는 한편, 안전수칙을 반드시 지키는 문화를 확산시켜 나간다는 것이다.
하지만, 사업장의 안전관리는 잘 짜여진 오케스트라처럼 정부, 사업주 그리고 근로자 모두가 각자의 역할을 충실히 하여 최상의 하모니를 만들어 낼 때 가능하다.
근로자는 작업 전 안전점검을 실시한 다음 안전작업절차에 따라 작업을 하고, 자신을 넘어 동료 근로자의 안전까지 배려하는 안전작업을 실천해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안타깝게도 소규모 사업장의 경우 안전관리가 미흡한 게 사실이다. 하지만, 내 자식, 내 형제에게 위험한 작업을 시키겠는가? 직장도 가정이라고 생각하자. 직원이 가족인 것이다.
안전은 직원을 행복하게 하고 생산성 향상의 지름길이다. 사업주는 안전을 귀찮은 것으로 여기거나 비용으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 근로자도 안전작업절차를 반드시 지켜야 한다. 왜냐하면 안전은 생명을 지키기 위한 서로의 의무이기 때문이다.
정성균 고용노동부 경기지청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