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천시설관리공단 구조조정안 실효성 의문

2022년까지 38명 감축안, 시간강사 구조조정안 없이 자연감소 인원뿐

과천시가 연 100억 원의 적자운영을 하는 과천시설관리공단에 대한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시행하고 있는 가운데, 시가 오는 2022년까지 38명의 직원을 감축기로 했으나 직원이 정년퇴직하면 신규 직원을 채용하지 않는 자연감소의 구조조정이어서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25일 시와 공단 등에 따르면 시는 공단이 매년 100억 원 이상의 적자 운영을 계속하자, 지난 2014년 감사를 통해 명예퇴직 등으로 21명의 인원을 감축했다. 시는 또 공단에 앞으로 인원을 감축하는 중장기 인력운영계획안(구조조정안)을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이에 공단은 지난해 12월 조직의 직제를 조정하는 등 오는 2022년까지 38명의 직원을 감축하는 구조조정 방안을 제출했고, 시는 이를 승인했다.

 

하지만, 이번 구조조정안은 정년퇴직 등 자연감소의 인원일 뿐만 아니라, 그동안 문제로 지적됐던 100명이 넘는 시간강사에 대한 구조조정안이 빠져 있어 형식적이라는 지적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공무원은 “공단이 매년 100억 원의 적자운영을 하면서 시 재정에 큰 부담을 주고 있다”며 “이 같은 공단을 구조조정을 하려면 이사장과 본부장 자리 중 한 자리는 없애야 하고, 대폭의 체육강사의 감축과 이용료 인상 등 뼈를 깎는 구조조정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지난 2014년 공단에 대한 감사를 시행한 결과 업무와 비교하면 인원이 많다고 판단해 구조조정을 시행하는 것이다”며 “공단의 구조조정은 1차 명예퇴직과 2차 자연감소를 통해 인원을 감축하는 것으로, 실효성이 없거나 형식적으로 추진하는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

 

한편, 공단 관계자는 “공단의 시설사용료 등은 시의 통제를 받고 있기 때문에 자율적인 경영이 어려운데, 시가 적자운영이라는 지적에 따라 일방적으로 구조조정을 진행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구조조정을 하려면 전문기관의 경영진단을 통해 추진해야 하는데도 시의 일방적인 지시로 추진하기 때문에 현재 노조가 구조조정을 반대하고 있는 상태다”고 말했다.

과천=김형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