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주택인허가 물량 최대 63만 가구… 미분양 시장에도 악영향 미치나

올해 주택인허가 물량이 최대 63만 가구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미분양 주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섞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미 경기지역을 포함한 수도권내 미분양 주택도 올들어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 만큼 미분양 주택 해소를 위한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1일 국토연구원은 ‘2016년 주택인허가물량 전망과 시사점’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올해 인허가물량이 최대 63만 가구 안팎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연구원은 당초 2000년부터 지난해까지 주택인허가물량을 추세적으로만 분석했을 때 올해 인허가물량을 59만 가구로 전망했다.

 

하지만 이처럼 인허가물량이 예상치(추세)보다 4만 가구 가까이 많아질 것으로 조사되면서, 미분양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며 연구원은 모니터링과 선제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인허가물량이 증가하면 주택 공급도 함께 늘어나 ‘수요보다 공급’이 앞서며 미분양 주택을 양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국토교통부 집계결과, 올해 들어 지난 4월까지 주택인허가물량은 22만2천684가구로 지난해보다 30.9%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11만 가구, 지방이 12만 가구로 각각 18.3%와 45% 늘었다. 같은 기간 전국 미분양 주택은 5만3천816가구로, 지난해 4월 2만8천93가구보다 두배 가까이 증가했다. 

수도권 미분양 주택 역시 2만2천345가구로 집계돼, 전년 동기(1만4천510가구)대비 65% 가량 늘어났다. 경기지역의 경우도 비슷한 추세로, 지난해 4월 1만976가구였던 미분양 주택수가 올해 4월 현재 1만8천365가구로 7천가구 이상 급증했다.

 

국토연구원 관계자는 “주택공급 프로세스의 시작인 주택인허가가 올해 당초 추세보다 많아 주택의 미분양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면서 “건설업체는 미분양 주택 증가에 대비해 철저한 자체 관리계획이 필요하고, 정부 차원에서는 미분양주택을 임대주택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등의 대책이 논의돼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김규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