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국립한국문학관후보지결정무기중단… 파주시 허탈

문화체육관광부가 지방자치단체 공모 과정까지 거쳐 이달안으로 국립한국문학관 건립후보지를 최종 결정하겠다던 일정을 돌연 중단하자 출판ㆍ문학인들 사이에 “온갖 바람은 다 잡았던 정부가 갑자기 무기중단한 것은 무책임하다”며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정관주 문체부 제1차관은 지난 24일 정부 서울청사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자체 간 유치 경쟁이 과열되면서 불필요한 갈등과 혼란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후보지가 선정되더라도 반발과 불복 등 심각한 후유증이 우려돼 원점에서 재검토하기 위해 모든 일정을 전면 중단한다”고 밝혔다. 

이어 “‘특정지역 내정설’ 등 유언비어가 나와 어떤 곳을 선정하더라도 탈락 지자체들은 허탈감과 상처가 남을 수밖에 없다”며 중단 배경을 설명했다.

 

그러나 문체부의 이런 설명에 대해 출판ㆍ문학인들은 어처구니없다는 반응이다. 국가출판산업단지인 파주출판도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K작가는 “역대 정부에서 백지화, 재추진 등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동남권신공항도 얼마 전 최종 결론을 내렸지 않았느냐”며 “그에 비해 논란이 크지 않은 국립한국문학관 후보지 결정을 무기 중단한 것은 정부가 무슨 이유를 들든 설득력이 없다”고 비판했다.

또다른 K작가는 “파주시 등 경기도 대표로 선발돼 유치신청서를 낸 지자체는 오직 이달안 결정이라는 문체부 일정에 따라 밤낮으로 관련 자료를 준비하는데 말도 안되는 논리로 하루아침에 정책을 뒤집어 정부불신만 자초하고 있다”고 비꼬았다.

 

특히 문체부가 문학계 의견수렴을 통해 국립한국문학관의 합리적인 추진 방안을 설정하겠다고 한 것을 두고, 파주유치추진위원회 관계자는 “국립한국문학관 후보지평가위원회조차 지금껏 발족시키지도 못한 문체부가 문학계 의견 수렴을 들먹이는 것은 후보지를 결정하겠다는 것인지 안하겠다는 것인지 헛갈린다”며 “정부의 문화정책 수준이 이것밖에 안돼 뭘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며 불만을 드러냈다.

 

이에 대해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이번 중단결정으로 문학계와 지역주민의 실망감도 클 것이기에 죄송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편 국립한국문학관은 국비 450억원을 들여 2019년 개관을 목표로 하고 있다. 문체부가 지난달 3일부터 25일까지 건립부지 공모 신청을 접수한 결과 전국 16개 시·도에서 파주시 등 24개 지자체가 유치경쟁에 뛰어들었다. 

파주=김요섭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