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 SK 와이번스 오른 투수 윤희상(31)은 지난달 28일 수원 kt wiz전에서 7이닝 동안 5피안타 1실점했다. 이날 쾌투로 최근 3경기 연속 승리투수가 된 윤희상에 대해 김용희 SK 감독은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윤)희상이가 반전의 드라마를 썼다. 시즌 초반 2군에 내려가 절치부심하며 노력한 모습이 오늘 그라운드에서 나타났다.”
지난해 팔꿈치 부상으로 재활한 윤희상은 올 시즌을 5선발로 시작했다. 개막 후 2경기는 실망스러웠다. 4월6일 사직 롯데전에서 2.1이닝 4실점을 기록하고 패전 투수가 된 뒤 4월12일 문학 KIA전에서도 3이닝 5실점으로 부진했다. 결국 윤희상은 신예 문승원에게 5선발 자리를 넘겨주고 2군으로 내려갔다.
윤희상이 다시 기회를 잡은 것은 힘이 떨어진 문승원이 1군 엔트리에서 제외된 지난달 3일이었다. 강화행 버스에 오른 지 50여일 만이었다. 돌아온 윤희상은 전혀 다른 투수가 돼 있었다. 특유의 핀포인트 제구가 살아나면서 그는 복귀전인 3일 두산전을 제외하고 4경기에서 퀄리티 스타트(6이닝 이상 투구 3자책점 이하) 투구를 했다. 최근 3경기에서는 퀄리티 스타트 플러스(7이닝 이상 투구 3자책점 이하)를 기록하기도 했다.
SK 관계자는 “윤희상이 올 시즌 초반만 해도 팔꿈치 통증을 느끼고 있었다”며 “그런 상황에서 뭔가를 보여주기 위해 세게만 던진 것 같다”고 했다. 하지만 2군행은 전화위복이 됐다. 팔꿈치 통증이 사라졌고, 본연의 색깔을 되찾았다. 이 관계자는 “통증이 사라지면서 제구가 살아났다”며 “윤희상은 원래 완급조절과 스트라이크존 구석구석을 찌르는 제구를 바탕으로 경기를 풀어가는 투수인데 제 모습을 찾은 것 같다”고 설명했다.
한승진 SK 매니저는 “지난 28일 kt전은 윤희상이 보일 수 있는 최고의 투구였다”며 “공이 전반적으로 낮게 형성되면서 타자들이 승부를 걸만한 순간이 적어졌다”고 평가했다. 윤희상도 “낮게 제구하자는 생각으로 공을 던지고 있다”고 했다. 실제로 1군 복귀 후 윤희상의 공은 70% 이상이 스트라이크존 중심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형성되고 있다.
조성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