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성의 실현이라고 해서 당장 우리가 따라할 수는 없다. 모든 사회 시스템은 나름 그것대로 이유가 있으니 외양만 보고 평가하기는 곤란하다.
하지만 미술, 음악시간에 실기 중심의 교육은 이제 좀 바뀔 필요가 있다. 먹고 살기 힘들었던 때는 그나마 학교에 와야만 그림도 그려볼 수 있고 노래도 배울 수 있었다. 말하자면 일천한 자원 속에서 보편적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문화적 소양을 키워야 했던 시절과는 또 다른 환경에 이미 접어들었다는 의미다.
초중등학교에서 예술교육의 목표는 실기능력의 향상보다 미술이나 음악시간을 통해 창의적 발상이나 예술애호가를 만드는데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실기 중심에서 감상 중심의 예술교육으로 전환되는 것이 마땅하다. 입맛은 7살 이전에 형성된다고 한다. 문화예술에 대한 취향과 눈높이의 형성도 어린 시절에 어떤 경험을 하는가에 달렸다.
여름방학을 맞이해 미술관에서 <게임으로 읽는 미술>과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가상현실> 전시가 열리고 있다. 가족 단위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개발된 전시다. 특히 첨단미디어와의 연결을 시도하면서, 스마트미디어에 친숙한 어린이와 청소년층의 관심을 미술관으로 끌어 들이고 있다.
체험을 통한 미술 감상은 미술관 문턱을 낮추는 또 하나의 전략인 셈이며, 바뀐 사회 환경에 적응하고 광범위한 시민들을 미술관의 친구들로 만들게 한다. 아이들에게 학교에서 배우는 것과는 또 다른 종류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미술관은 그래서 교과서 없는 열린교육의 현장이다.
전승보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 전시감독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