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대] 위안부 피해자 기림행사

이연섭 논설위원 yslee@kyeonggi.com
기자페이지

고 김학순(1924~1997) 할머니는 위안부 피해자다. 베이징에서 일본군에게 끌려가 하루 7~8명의 군인을 상대하는 성노예 생활을 했다. 다행히 4개월 만에 빠져나왔고, 탈출을 도운 평양 출신의 조선인과 결혼해 딸과 아들을 낳았다. 한국전쟁때 남편을 잃었고 이후 아들도 잃었다. 서울 종로구의 판잣집에서 온갖 궂은일을 하며 생활하던 김 할머니는 1990년 6월 일본이 ‘일본군은 위안부 문제에 관여하지 않았다’고 발표하자 이에 격분해 위안부 피해 사실을 폭로하기로 결심했다.

1991년 8월 14일, 김학순 할머니는 기자회견을 통해 일본군 피해 사실을 최초로 공개 증언했다. 이후 할머니는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매주 수요일 열리는 항의 집회에 빠짐없이 참가하는 등 위안부에 대한 일본 정부의 사죄와 보상을 촉구했으며, 이를 국제사회 문제로 확대하는 데 여생을 바쳤다. 2012년 12월 ‘제11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아시아 연대회의’는 김 할머니의 최초 증언일인 8월 14일을 ‘세계 위안부의 날’로 지정했다.

지난 6월 더불어민주당 박완주 의원은 매년 8월 14일을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로 정하고 위안부 피해자를 기리기 위한 ‘일제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생활안정 지원 및 기념사업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박 의원은 지난 19대 국회에서도 법안을 발의했으나 정부여당의 미온적 태도로 의결이 무산됐고, 결국 임기만료로 폐기됐다.

위안부 문제가 한국과 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적 이슈가 됐는데, 우리 정부만 한일관계 냉각을 우려해 위안부 피해자들의 아픔을 외면한 채 소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20대 국회에선 과연 통과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14일 경기일보와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이 수원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행사’를 가졌다.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명예회복과 인권, 시민들의 역사의식 고취 등을 위해 마련한 뜻깊은 자리였다. 이날 행사는 경기도의회 정대운 의원이 발의한 ‘위안부 피해자들의 생활안정과 기념사업에 관한 조례’에 따라 개최된 것으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기리는 도내 첫 행사였다.

정부에 등록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238명 가운데 이제 42명만이 생존해 계신다.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이 꼭 제정돼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매년 의미있는 행사가 열렸으면 하는 바람이다.

 

이연섭 논설위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