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영화 ‘곡성’에서 귀신에 빙의된 주인공의 딸아이가 내뱉은 대사 한마디가 우리 사회를 휩쓸고 지나갔다. 수많은 패러디를 낳고 광고에서도 반복해서 사용되면서 영화를 보지 않았더라도 이 대사를 모르는 사람은 없을 정도가 되었다.
혹자는 영화의 대사 한 마디가 이처럼 이슈가 되는 현상을 그저 재미로 받아들일지 모르겠지만, 필자는 “무엇이 중요한지 너는 모르고 있다”는 그 한 마디가 우리 사회를 꿰뚫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 한 마디 대사에서 현실을 대변하는 무언가를 느꼈기에 유행을 만들어낸 것이 아닐까.
올해부터 전면 시행된 자유학기제는 중학교 과정 중 한 학기 동안 시험없이 다양한 활동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 그중에서도 직업체험을 통해 진로를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진로탐색활동은 청소년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하지만 이 같은 긍정적인 측면에도 불구하고 이 정책에 대해 많은 우려가 나오고 있다. 우선 부모들 사이에서는 아이가 한 학기 동안 공부는 하지 않고 놀기만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교사들은 교육부에서 제시하는 기준에 맞는 체험처를 찾기가 힘들다고 하고, 체험처에서는 학생들에게 직장을 자주 개방하는 것이 부담스럽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다.
다양한 체험을 통해 자신의 꿈을 키우고 미래를 준비하는 청소년이 행복한 삶을 살 가능성이 더 높다. 부모들이 진실로 원하는 것이 ‘공부 잘 하는’ 아이가 아니라 ‘행복한 삶을 사는’ 아이라면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서 체험활동을 응원해줘야 한다. 기업 입장에서도 사회적 공헌을 하면서 지역 청소년과 주민들에게 기업을 홍보할 수 있는 좋은 정책으로 받아들인다면 부담이 좀 줄어들지 않을까?
‘뭣이 중헌지’는 개인과 조직의 입장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우리 사회 전체가 건강하게 발전하기 위해서는 꿈이 있는 청소년을 육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꿈이 있는 청소년 육성이 바로 우리 사회의 희망이며 미래이기 때문이다.
김영규 수원시청소년육성재단 이사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