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바꾸는 문화시민운동

쓰레기 줍기 등 성숙한 시민의식 2002년 한일월드컵 뒷얘기 눈길
저자, 경제성장·삶의 질 향상 위해 개개인의 문화역량 키울 것 강조

대한민국을 뜨겁게 달궜던 2002년 한일월드컵. 월드컵 개최만으로도 의미가 있었지만 한국 최초의 4강 진출, 지금은 세계적인 선수가 된 박지성 배출 등 많은 것을 남겼다.

하지만 무엇보다 돋보였던 것은 ‘성숙한 시민의식’이었다. 한 줌의 쓰레기도 남아있지 않았던 광화문 광장, 한 줄로 길게 늘어섰던 화장실 한 줄서기 등 전세계가 대한민국의 성숙한 시민의식을 주목했다.

 

그 중심에 이진배 문화시민운동중앙협의회장이 있다.

문화국가와 민주시민사회를 만드는 데 문화시민운동과 문화예술공연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온 저자는 예술경영자로 활동하며 민주시민으로서의 기본 자질과 교양을 함양시키는 데 중심적 역할을 행해왔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한 뒤 제7회 행정고시에 합격, 1970년 문화공보부에 입부한 이래 홍콩, 워싱턴, 로마, 호주 캔버라 주재 대사관 공보관으로 우리 문화와 한국을 알리는 업무를 수행했다. 이후 공보처 기획관리실장, 문화관광부 차관보,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사무총장, 문화시민운동중앙협의회 사무총장, 의정부예술의전당 대표이사, 농어촌희망재단 상임이사 문화사업단장 등을 두루 거쳤다.

 

특히 1997년부터는 문화시민운동을 적극적으로 진행, 친절·질서·청결의 실천 덕목의 기치를 내걸고 ‘기초질서 지키기’, ‘선진형 한 줄로 서기’, ‘보행질서 지키기’, ‘아름다운 화장실 운동’, ‘미소로 손님맞이하기’와 같은 범국민적 시민운동을 전개했다. 이런 시민운동 덕분에 2002 월드컵을 성공적으로 치러낼 수 있었다.

 

<대한민국 문화진단서>(신원문화사 刊)는 2002년 월드컵의 뒷 이야기는 물론 그가 평생을 바쳐온 민주시민사회를 만들기 위한 노력의 과정이 기록으로 담겨있다.

 

이 기록들은 5장으로 나눠져 있다. 1장에는 세계 일류 문화도시로 가기 위해 대한민국 국민이 가져야 할 마음가짐, 2장에는 문화시민운동과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문화예술공연의 필요성, 3장에는 문화예술교육(다문화가정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등)을 통해 얻어지는 창출 효과, 4장에는 민주시민사회를 만드는 데 저해하는 요소, 5장에는 행복한 삶을 위해 필요한 문화시민의식 등에 대한 내용이 있다.

 

저자는 “지속적 경제 성장과 삶의 질 향상은 시민사회의 건강한 문화역량만이 성취할 수 있다”며 “밀려오는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서 살아남고 세계 일류국가가 되기 위해서는 시민 개개인의 문화역량을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 책에는 지난 12년 동안 선진국 경험과 문화행정가, 예술경영자로 일하면서 느끼고 겪은 일들이 담겨 있다”며 “책을 통해 문화시민사회를 향한 고민들을 함께 나눴으면 한다”고 말했다. 값 1만3천원 

송시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