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동부 17개 시·군은 서울청, 서남부 14개 시는 인천청 관할… 기업체들 “가격 불합리, 애로많다”
조달청 등록 공공기관 수와 물품·용역 계약실적 건수가 전국 1위인 경기도에 독립 조달청이 없어 파주 등 경기북부지역 기업체들이 “상대적으로 큰 피해를 보고 있다”며 ‘(가칭)경기지방조달청’ 설립을 요구하고 있다. 각종 제품 조달 가격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아 막대한 손해를 보는가 하면 경제ㆍ시간적 비용 발생으로 기업활동이 크게 위축되고 있기 때문이다.
20일 파주상공회의소 등 경기북부상공회의소와 중소기업중앙회 등에 따르면 현재 경기지역은 서울·인천지방조달청이 각각 분할해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경제규모나 조달수요 등을 고려하면 매우 불합리하다는 것이 상의 관계자들의 주장이다.
경기도는 인구 1천270여만 명, 취업인구 600여만 명, 총 사업체 72만 개로, 이 중 조달기업 수만 7만660개에 달해 전국 2위다. 또한, 조달행정 규모(2015년 말 현재)에 있어서도 조달청 등록 공공기관 수가 8천380개로 전국 1위이며, 물품·용역 계약실적 건수도 15만4천350건으로 역시 전국 1위(금액 면으로는 3조8천820억 원으로 전국 2위)다.
이렇듯 경기도는 각종 조달 규모가 전국 최고 수준임에도 독립 조달청이 없어 파주 등 경기북동부 17개 시·군은 서울청이, 경기서남부 14개 시는 인천청이 각각 나눠 관할하고 있다.
경기북부 등 도내 업체들은 단독 조달청이 없어 경기도 지역특성이 고려되지 않은 조달행정 때문에 인력채용·물류환경·원자재 수급조건 등이 조달가격에 제대로 반영되지 못해 기업 경영에 많은 애로가 발생한다며 대책을 호소하고 있다. 아울러 업체 등록, 기술평가, 계약 협의 등을 위해 서울·인천조달청 방문 시 경제적·시간적 비용 발생도 기업활동에 큰 장애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장동문 파주상공회의소장은 “지방조달청은 제도 설명회, 기업 현장방문 등을 통해 애로사항을 듣고 조달제도를 개선하고 있는데, 여기에 경기도 기업은 소외되고 있다”며 “경기도와 협조체제를 구축, 정부통합정원 활용을 통해 경기지방조달청을 서둘러 신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조달청 관계자는 “서울ㆍ인천지방조달청으로 하여금 경기지역 기업의 애로를 해소하고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방안을 적극 반영하라고 주문해 놓고 있다”고 말했다.
파주=김요섭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