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A학교의 수업 도중 학부모 B씨가 여교사 C씨의 뺨을 때리고 머리카락을 잡고 머리를 벽에 부딪히는 등 폭언과 폭행을 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C교사가 지시를 이행치 않은 자기 자녀에게 꿀밤을 때린 데 불만을 품고 학교에 찾아와 C교사를 폭행한 것이다. B씨는 현장에서 체포됐지만 사건 이후 불안감에 시달리던 C교사는 3주간의 병가를 냈고, 이후에도 상담 치료를 받는 등 힘겹게 생활하고 있다.
매 맞는 교사들 얘기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학생들은 물론 학부모까지 학교에 찾아와 교사의 멱살을 잡는 일이 빈번하다. 학교 측과 피해 교사는 바깥에 알려지는 것을 꺼려 쉬쉬하는 경우가 많다. 학교 이미지와 신뢰도가 무너지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학생 지도를 포기하거나 아예 교단을 떠나는 교사들도 적지 않다. 교단에 서기가 겁난다는 이들은 자부심은커녕 자괴감만 든다고 토로한다.
교권 붕괴 행태도 다양하다. 교사들이 폭행과 욕설은 물론 성추행까지 당하고 있다. 이들 피해 교사들은 해당 학교에서 더 이상 견디지 못하고 전보나 병가·휴직을 하는 경우가 많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안민석(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교권 침해 피해 교원에 대한 조치 내역’에 따르면, 교권 침해를 당한 교사들의 전보·병가·휴직 등의 건수가 지난 2013년 405건에서 2014년 434건, 2015년 950건으로 해마다 늘고 있다. 학생과 학부모의 폭행·폭언·성희롱 등 교권 침해 건수는 2013년 5천562건, 2014년 4천9건, 2015년 3천458건으로 집계됐다.
교육부가 교권을 침해당한 교사들을 위해 ‘교원 치유 지원센터’를 운영한다. 부산 제주 대구 대전 등 4곳에서 시범 운영하던 것을 내년에는 전국 시ㆍ도 교육청으로 확대키로 했다. 학부모와 학생으로부터 폭행ㆍ협박ㆍ폭언ㆍ성희롱 등을 당한 피해 교사에 대한 상담ㆍ치유ㆍ사후 관리 등을 맡는다. 센터에는 전문상담사들이 상주하며 교권 피해 교사를 대상으로 심리검사와 집단상담, 심리극, 치유캠프 등 다양한 치유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그러나 이보다 더 중요한 건 교권 침해를 막는 것이다. 교권이 무너지면 학교가 무너지고 결국 국가의 미래도 암울해진다. 공교육 정상화도 힘들다. 상처받은 교사의 치료와 안정적 복귀를 돕는 것도 중요하지만 안심하고 교육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교권 보호를 위한 대책을 먼저 마련해야 한다.
이연섭 논설위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