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
정진갑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위원장(계명대 화학과 교수)은 17일 탐구영역과 제2외국어 영역에서 선택과목에 따라 유·불리 현상을 피하도록 노력했다고 강조했다. 특히 정 위원장은 “오류없는 문항과 난이도 분포에 신경을 썼다”면서 “만점자 비율 목표는 이번 출제에서 고려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다음은 정 위원장과의 일문일답.
▲올해 수능 출제 난이도는.
―적정 난이도 일관성 유지가 대단히 중요하다. 2017년도 수능 출제에 가장 신경을 썼던 부분 중 하나가 ‘적정 난이도 일관성 유지’다. 그래서 6월 모의평가, 9월 모의평가 수준과 유사하게 이번 수능도 출제했다.
▲영어는 올해가 마지막 상대평가인데 어떤 식으로 변별력을 갖췄나.
―절대평가가 되는 것은 내년도에 시작되는 문제이기 때문에 올해에서는 주안점을 두지 않았다. 올해는 기존에 교육과정에 맞춰서 출제했고, 평이한 수준으로 하되 변별도를 위해서 약간의 어려운 문항이 포함되는 수준에서 출제됐다.
▲영역마다 최고 난이도는 어느 수준인지.
―과목마다 문항의 개수가 달라서 일괄적으로 얘기할 수는 없지만 최대 목표는 표준점수로 변환했을 때 그 값이 차이가 없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탐구영역이나 제2외국어의 경우는 과목에 따라서 유·불리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그 부분을 최대한 피하도록 노력했다.
▲만점자 비율 목표가 있는지.
―만점자 비율에 대해서는 크게 신경을 안썼다. 기존에는 만점자 1%를 금과옥조처럼 생각했는데 최근에 와서는 일단은 오류 없는 문항이 제일 우선이다. 전체적으로 등급 브레이크 없을 정도의 난이도 분포 정도에 신경을 쓰고, 만점자를 몇 %를 목표로 하고 하는 것은 이번 출제에서는 고려하지 않았다.
▲올해 모의평가에서 문제유출 사고가 있었는데.
-수능에서는 그런 일이 없을 거라고 확신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