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춘추] 왜곡

樹木等到花(수목등도화) 謝才能結果(사재능결과) 江水流到舍(강수류도사) 江才能入海(강재능입해), 혼탁한 정국현안과 관련하여 얼마 전 자승 조계종 총무원장이 대통령을 독대한 자리에서 전달했다는 경구이다.

청와대가 나서서 “나무는 꽃을 버려야 열매를 맺고, 강물은 강을 버려야 바다에 이른다”는 해설까지 곁들여 정치권과 국민 모두가 지혜로 삼아야 할 말씀이라고 전했다. 다수의 언론이 화엄경에 나오는 구절이라고 여과없이 보도했지만 실상은 화엄경에서는 이와 유사한 문구도 찾을 수 없다고 한다.

 

지위의 고하를 막론하고 출처가 불명확하고 진정성을 찾기 힘든 정보가 급증하고 있다. 솔개가 40살이 되면 갱생하기 위해, 무뎌진 부리를 바위에 쪼아 버리고 새로 돋은 부리로 발톱과 깃털 마저 뽑아낸다는 이야기는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근거 없는 우화일 뿐이다. 미꾸라지의 천적인 메기를 함께 수조에 집어넣으면 미꾸라지가 더욱 건강해진다는 메기론, 물의 온도를 서서히 높이면 이를 인지하지 못하는 개구리가 속수무책으로 삶아져 죽는다는 개구리론 등이 모두 과학적인 근거가 없다.

기성세대에게 이미 정설로 받아들여진 것도 허다하다. 소크라테스는 독배를 마시며 ‘악법도 법이다’라고 말한 적이 없다. 전화기 발명도 자주 언급된다. 두 사람이 동일한 기술로 전화기를 발명하였지만, 벨이 2시간 먼저 특허를 신청해서 최초발명가로 인정받았으며 2등은 아무도 기억하지 않는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미국의 특허제도는 2011년 전에는 발명시점이 빠른 사람에게 특허권을 부여하는 선발명주의를 고수하고 있었다.

 

모로 가나 기어 가나 서울 남대문만 가면 그만이지, 화엄경에 있으면 어떻고 없으면 어떻냐고 반문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야기의 존재가치는 듣는 사람의 지식을 확장하여, 인식과 행동의 변화를 이끌어 내는 것이다. 아무리 잘 이해하고 감동을 받더라도 실천하는 일은 쉽지 않다. 

그래서 세상에서 가장 먼 거리가 “머리에서 손까지”라고 하지 않던가. 한 순간의 거짓(!) 감동은 단거리 이동에는 도움이 될 수 있으나, 궁극적인 실천의 동력으로는 미흡하며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

 

우형록 한양대 겸임교수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