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펜하겐은 지난 2009년부터 시청앞 광장 등에 자전거 등록대수를 보여주는 전광판을 세우고 공기주입시설 등 자전거 인프라와 편의시설을 본격적으로 설치하기 시작했다.
세계는 지금 보행 친화 및 자전거도시를 비전으로 선포하고 도시를 리모델링하는 야심찬 정책이 경쟁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자전거 천국 네덜란드는 전국의 자전거 교통분담률이 40%를 향해 치닫고 있고 독일은 오는 2030년 이후부터는 아예 화석연료를 태우는 내연기관 자동차 판매금지 결정하고 선포했다.
프랑크푸르트 등 20여 개 도시에서는 도심내 자동차 진입을 전면 금지하는 한편 자전거와 전동 휠 등 이른바 1인용 탈것을 위한 인프라를 확충하고 주요 에너지 소비시설을 태양광, 풍력, 지열 등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고 있다.
그러나 세계적인 트렌드와는 달리 우리는 아직도 변죽만 울리고 있다. 경기도 7개 시·군이 운영중인 자전거 공유시스템 대부분은 정책 목표와 효용이 무엇인지 도무지 불분명하다. 이 시스템은 공용자전거와 스테이션 등 설치에만 수백억이 투자됐고 매년 유지관리비만 수십억씩 들어가고 있지만 정작 자전거 교통분담률이 상승했다는 소식은 들리지 않는다.
안산시는 한 대에 55만 원짜리 공용자전거 시스템에 100억 원을 쏟아붓고 매년 2
실체적 목표가 없는 정책은 전면 재검토돼야 한다. 이제 비싼 공공자전거는 그만 사들이고 오히려 집에서 녹슬고 있는 자전거를 출퇴근, 쇼핑 등 일상생활용으로 사용하도록 거리로 쏟아져 나오게 유인해야 한다.
자동차 1대 주차면에는 자전거 10대, 2층이면 20대가 들어간다. 시·군마다 자건거 교통분담률 목표를 세우자. 전철역 등 공영주차장의 1/5만 편리하고 도난우려가 없는 자전거 주차장으로 전환하자. 그리고 도로다이어트로 안전하고 쾌적한 자전거 도로만 확보해 보자.
두바퀴 자전거가 스스로 굴러가듯이 나머지는 시민들에 의해 자동으로 해결된다.
양근서 경기도 연정위원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